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미국 행정부의 관세 확대와 관련해 “(우리 정부가)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갖고 준비를 하고 있다”며 대미(對美) 투자가 많아 미국과 충분히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 출석해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반도체 관세 확대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물밑에서 실무적인 접촉도 하고 있다”며 “하나하나 대응하는 것보다는 면밀히 주시하고, 미국에 인풋도 넣어가면서 대응하는 것이 결국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과의 신뢰 관계, 투자 실적 등에 기반해 한국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을 조율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다. 최 권한대행은 “한미동맹이 우리나 미국에 상호 이득이 되는 굳건한 동맹이고 우리가 미국에 줄 것도 있고, 많은 기업이 투자하고 있다”며 “일본이 미국 누적 투자는 1위지만, 최근 2년 동안 신규 투자는 대한민국이 1위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미국하고 충분히 협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내달 12일 발효를 앞둔 철강·알루미늄 관세 문제도 협의에 나서겠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철강 관세에 대해 “일단 미국은 ‘예외가 없다’고 발표를 했지만 협의를 해보겠다”며 “기본적으로 충격이 있지만, 또 기회 요인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같이 고려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조선업 관련 미국과의 협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력 관계에 조선이 중요한 산업”이라며 “그런 부분들에 최대한 협력을, 시너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고 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우리 기업들의 우려가 크다며 미국 정부에 ‘실무단 파견’을 제안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에 “대행체제로 여러 가지 제약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그렇지만 장관급과 고위 실무급에서 협의는 계속하고 있다. 다음 주 월요일 통상차관보가 미국에 간다”며 “미국 상무장관이 인준되면 우리 산업부 장관과 만나도록 하는 등 이런 부분들은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