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철강산업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경북 포항 등 3개 철강도시가 범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포항시 등에 따르면 이강덕 포항시장과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은 13일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대책 영상회의’를 개최했다.
포항·광양·당진시의 조강 생산량은 국내 전체 조강생산량의 약 93%에 이른다.
이들 단체장은 철강산업 현황과 피해 상황 등을 공유하고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은 2021년 이후 글로벌 경기 하락으로 철강 수요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중국의 조강 생산량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저가 공세와 일본의 엔저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는 전례 없는 불황을 맞았으며, 최근 미국의 철강 제품 25% 관세 부과로 위기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단체장은 지역산업을 넘어 대한민국 철강산업 전반을 흔들 수 있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야·정부의 협력을 이끌어 내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또 철강산업이 무너지면 국가 경제 전반의 붕괴로 이어져 회복 불능의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을 우려하며, 긴급금융 지원과 세제 혜택 등 철강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 포항시장은 “철강은 자동차, 조선, 전자 등 모든 산업에 필요한 대체 불가 핵심 소재이자 우리산업의 주력 수출품으로 철강산업의 위기는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라며 “국내 철강산업 보호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포항시는 지난 11일 국내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호소문 등을 통해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국내 기업 의무할당제, 산업용 전기료 인하,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 신속 처리, 수출 쿼터제 합의를 위한 외교적 노력 등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