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을 촉구하며 남태령에서 트랙터 시위를 벌인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간부 2명이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출석해 첫 조사를 받았다. 이들은 조사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트랙터 행진은 적법하고 평화롭게 진행돼왔다”면서 ‘남태령 투쟁 당시 평화를 깬 것은 농민이 아닌 경찰’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 방배경찰서는 19일 오후 2시께부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위반 혐의로 하원오 전농 의장 및 최석환 사무국장에 대한 첫 피의자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앞서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과 전농 ‘전봉준투쟁단’ 등은 오후 1시께 방배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트랙터 행진 금지는 평화적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침해하는 부당한 공권력 행사였다"고 밝혔다.
하 의장은 “시민들이 영하 14도 추위에 떨며 남태령에 갇힌 채 미신고 집회를 하게 만든 것은 경찰”이라 주장하고 “왕복 8차선 도로를 막아서 교통 불편을 만든 것도 농민이 아닌 경찰의 책임”이라면서 “당당하게 조사 받고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 회장은 “남태령 투쟁에 대한 수사가 웬말이냐”며 “우리가 아닌 내란 동조세력을 수사하라”고 강조했다. 임태훈 비상행동 공동대표는 “내란범들이 진군할 때는 가만히 있었으면서 농민들이 내란수괴를 체포하라고 외치는 시위는 왜 진압하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주최 측 외에도 여러 진보 단체와 시민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경찰 조사 소식을 듣고 전농을 지지하기 위해 왔다는 김진아(30대·여)씨는 “트랙터 시위 당시 현장에 나가 28시간 동안 안 자고 자리를 지켰다”며 “일상의 행복을 지키기 위해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전봉준투쟁단은 지난해 12월 21일 경남·전남에서부터 트랙터 30여 대와 화물차 50여 대를 몰고 서울 진입을 시도하다 서초구 남태령역 앞에서 진입을 막는 경찰과 충돌했다. 앞서 경찰은 전농 측의 집회 신고에 대해 ‘교통 질서 문제’를 이유로 제한 통고를 내린 상태였다. 당시 트랙터 시위대가 경찰에 의해 막혀 고립됐다는 소식이 SNS 등을 통해 전해지자 2030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이 다수 합류하기도 했다.
28시간 동안의 대치 끝에 22일 오후 4시께 경찰이 차벽을 해제하면서 전농은 대통령 관저 인근까지 진출했다. 이후 경찰은 집시법 위반 혐의로 하 의장과 최 사무국장을 입건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