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올해 3월로 예정됐던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시기가 한두 달 가량 늦춰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오 시장은 21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3월에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느냐’는 박수빈(더불어민주당·강북4) 의원의 질문에 “차질이 생겼다. 한두 달 순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답했다.
오 시장은 “지하철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맞물려 있어 인상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어제 통과가 안 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경기도의회는 전날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본회의에 상정하지 않았다.
시는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1250원→1400원) 인상했다. 당초 시는 지하철 요금은 2번에 걸쳐 올리겠다며 150원 추가 인상 시점을 2024년으로 미뤘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경기도·인천시, 코레일은 올해 3월께 지하철 요금을 150원 추가 인상(1400원→1550원)하기로 뜻을 모았으나 경기도의회에서 인상안이 통과되지 못한 것이다.
이날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확대로 서울교통공사 적자 문제가 심각하다는 박 의원의 지적에 “적어도 교통비 문제만큼은 복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판단”이라며 “적자 문제는 가슴이 아프지만 다른 정책과는 차별화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동행카드로 생기는 적자는 1년에 1800억 원가량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가 절반인 900억 원을, 나머지 900억 원은 서울교통공사가 부담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