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대응 2단계로 상향됐다.
산림 당국과 경남도 등에 따르면 7일 낮 12시 5분께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산림 당국은 오후 1시 45분 산불대응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오후 3시 30분께 2단계로 격상했다.
산림 당국은 헬기 21대와 장비 37대, 진화대원은 397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 중이다.
현재 산불영향구역은 47.5㏊, 전체 불의 길이는 4.9㎞며 잔여 화선은 1.9㎞이다. 회신·양지·상촌·중촌·월횡·고암·갈성 등 7개 마을 등 주민 326명은 대피한 상태다.
현재 해당 지역에는 최대 초속 15m의 북동풍이 불고 있어 주불을 진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동군 관계자는 “바람 때문에 불길 방향이 수시로 바뀌어서 진화에 애를 먹고 있다”며 “연기 때문에 주불을 얼마나 진화했는지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산림청은 2단계 발령 시간 기준으로 진화율이 40% 수준이라고 밝혔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하동 산불과 관련해 가용 자원을 신속 투입하고, 민가와 인명피해 방지에 최선을 다할 것을 긴급 지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을 맡고 있는 고 직무대행은 "산림청과 소방청, 경남도, 하동군 등 관계 기관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장비와 인력을 신속히 투입해 산불 조기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산불 영향이 우려되는 지역의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키고, 선제적으로 방화선을 구축하는 등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우선적으로 조치하라"며 "산불 진화 시 산불특수진화대, 지자체 공무원 등 진화 인력의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말했다.
이번 산불로 70대 A 씨가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후송됐다. 산림 당국은 A 씨를 산불 원인 행위자로 보고 있고, 산불 원인을 예초기 화재 비화로 추정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