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미중 관세폭탄 난타전, ‘동맹 확보’ 양자 대결로 귀결될 듯

트럼프, "中 관세 125%로 인상"

“다른 나라엔 상호관세 90일 유예

美, 동맹과 합의 후 中 공동 압박

習, “주변국과 운명공동체 구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전 세계를 향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차별 관세 폭탄이 결국 중국 한 국가만을 상대로 한 양자 대결로 치달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의 ‘세계 시장에 대한 무례한 태도’를 이유로 들어 대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보다 대폭 인상한 125%로 즉각 상향 조정했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모든 상호관세 국가에는 보복하지 않고 미국과 협조하고 있다는 이유로 90일간 유예조치를 내리고 10% 기본관세만 부과하기로 했다. 미중 양국은 동맹국을 확보한 채 서로를 향한 칼날 끝을 더욱 예리하게 다듬어 벼랑 끝 싸움으로 향할 태세다.

미국의 중국을 향한 관세는 9일 0시 1분(미 동부 시각 기준)부터 중국에 104%가 발효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약 13시간이 지난 이날 오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중국을 향한 미국의 관세 폭탄은 2월과 3월 10%씩 더해졌으나 이달 들어서는 부과 간격이 급격히 당겨졌다. 지난 2일 상호관세 34%를 9일부터 발효한다고 예고했으나 중국이 4일 똑같이 34% 맞불 관세로 대응하자 8일 50%포인트(p)를 더해 9일부터 총 104%를 발효했고, 하루도 지나지 않은 이날 오후 21%p가 더해졌다. 중국이 “끝까지 싸우겠다”며 10일 낮 12시 1분(현지시간)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율을 34%에서 84%로 인상한 만큼 미국 조치에 따라 다시 105%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미국은 다른 국가들은 뒤로 미룬 채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 집중할 태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75개 이상의 국가가 미국 상무부, 재무부, USTR(미국 무역 대표부)를 포함한 미국 대표들에게 협상을 요구했다”며 “이들 국가들은 미국에 어떤 형태로든 보복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승인하고, 이 기간 동안 상호 관세를 10%로 대폭 낮췄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은 “사실상 90일간의 휴전을 통해 미국 행정부는 일본, 한국, 베트남 등과 협상을 곧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점을 고려하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에 대한 공동 압박에 앞서 동맹국들과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기존 구상에 어느 정도 신빙성을 부여하게 된다”고 해석했다.

블룸버그는 앞서 베선트 재무장관이 이날 워싱턴DC의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우리는 아마 동맹들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들은 좋은 군사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동맹은 아니었다”며 “그러고 나서 우리는 단체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는 동맹들과 먼저 무역 문제를 해결한 뒤 동맹들을 규합해 중국을 함께 압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베선트 장관은 유럽연합(EU)이 미국 대신 중국과 더 가까워질 경우 “그건 자기 목을 스스로 베는 것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EU이 이달 15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최고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조치가 유예될 지 관심이 쏠린다. EU 집행위원회는 이와 관련 회원국 표결 직후 내놓은 성명에서 “미국이 공정하고 균형 잡힌 협상 결과에 합의한다면 이러한 대응은 언제든 중단할 수 있다”며 협상에 여지를 뒀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결국 승리할 수 밖에 없다며 확전이 계속될 경우 손해를 보는 것은 중국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은 우리가 중국에 수출하는 것의 5배를 미국에 수출한다”고 말했다. 똑같이 관세를 부과해도 중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금액이 훨씬 큰 만큼 중국이 더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반면 중국은 미국이 겪는 피해가 더 큰 만큼 대결을 이어간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8일 “미국이 관세로 초래되는 인플레이션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불만을 감당할 수 없을 때를 중국이 기다리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품목에는 원자재와 중간재는 물론 장난감·의류·가정용품 등 소비재가 다수 포함돼 중국산에 매기는 관세가 늘어날 경우 그만큼 미국 소비자들이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해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중국 지도부는 이를 고려해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급등하거나 고용이 감소하는 등 미국 경제가 상호 관세의 역풍을 맞아 트럼프가 궁지에 몰리는 시점을 기다려 협상 테이블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의 동맹 확보 후 중국에 대한 합동 공격에 맞서 중국도 주변국 외교를 강화해 우군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짜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핵심 지도부가 총출동한 가운데 전날부터 이틀간 열린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 시 주석은 “주변국과의 운명 공동체 구축을 위해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지역 국가들이 자국 발전 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지도부는 “중국과 주변국 관계가 근대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있다”며 “현재는 주변국 정세와 세계 변화와 깊은 관련을 갖는 중요한 단계”라고 했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공급망 협력을 강화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주변국과 외교 문제를 다루는 최고위급 회의가 열린 것은 12년 만에 처음이며, 시 주석의 연설이 공개된 것 역시 올해 미중 무역전쟁 격화 이후 처음이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내려진 직후 우군 확보에 주력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 일본에도 우호적 제스처를 보내며 한미일 동맹에 균열을 유도하고 한중일 경제 협력을 도모하자고 나선 상태다. 지난달 31일 서울에서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3국 장관이 손을 맞잡은 모습에 브라이언 샤츠 미국 상원의원은 경악하기도 했다.

중국은 시 주석이 이달 중순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국도 방문할 예정이다. 올해 시 주석의 첫 해외 순방으로, 이웃 국가들과 관계를 강화해 미국에 맞설 우군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이들 3국 역시 미국으로부터 말레이시아 24%, 베트남 46%, 캄보디아 49% 등의 상호 관세 조치를 받은 상태다. 이들 국가가 미국으로부터 90일간의 관세 유예를 받은 만큼 미국과 개별 협상에 먼저 나설지, 일대일로 협력 등 경제적으로 연관성이 큰 중국과 손을 맞잡고 미국에 공동 대응할 지도 주목할 만 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