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사상 처음으로 1만 명을 넘겼다.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사례는 1년새 3배 폭증했다. 피해영상물 삭제 지원 건수 역시 처음으로 30만건을 돌파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10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디성센터에서 상담, 삭제 지원, 수사·법률·의료 지원 연계 등의 지원을 받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는 1만 305명으로 전년 8983명 대비 14.7% 늘었다. 피해자가 1만 명을 넘긴 건 센터가 출범한 지난 2018년 이래 처음이다. 피해자 성별로는 여성이 72.1%, 연령대별로는 10대와 20대가 78.7%를 차지했다.
피해 유형별로는 딥페이크 기술 등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가 1384건 접수돼 전년(423건) 대비 227.2% 급증했다. 전체 피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9%에서 8.2%로 늘었다. 디성센터가 지난해 8월 ‘딥페이크 성범죄 전담 대응팀’을 구성해 피해지원과 수사의뢰에 적극적으로 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피해자는 여성이 96.6%로 압도적으로 많아 주로 여성의 얼굴·신체가 딥페이크 범죄의 표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원 건수도 2023년 27만 5520건에서 지난해 33만 2351건으로 20.62% 늘었다. 불법촬영물·성착취물 등 피해영상물 삭제 지원 건수만 30만 237건으로 전체의 90.3%에 달했다. 삭제 지원을 받은 피해자들 가운데 25.9%는 성명이나 연령, 주소 등 개인정보가 함께 유출됐다. 진흥원은 오는 17일 성폭력방지법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피해자의 신상정보도 삭제 지원이 가능해져 이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디성센터는 2018년 4월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설치됐다. 진흥원은 오는 17일 개정 성폭력방지법 시행에 맞춰 디성센터 명칭을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로 바꾸고 전국 시·도 지역 디성센터 17곳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방안을 강구해 피해자 보호·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