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4(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등 다수 의대 학생들이 수업 거부를 천명한 가운데 경희대 의대생들도 수업에 불참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투쟁이 확산하면서 대규모 유급 사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동결 ‘불발’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경희대 의대 재학생들은 최근 투쟁 지속 의사 투표에 참여했다. 투표 결과 투쟁 방향이 수강신청 보류에서 수강신청 거부로 바뀐 것으로 알려졌다. 수업 불참을 종용하기 위해 의대생 일부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재학생들에게 투표 결과를 알리기도 했다. 경희대 의대 측은 “수업 방해 행위에 대해 학장이 직접 해당 학생에게 엄중 경고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학생들에게 공지했다.
경희대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를 선언하면서 수업 거부를 투쟁 방식으로 채택한 의대는 7곳으로 늘었다. 앞서 아주대 의대 신입생들은 지난 9일 SNS 계정을 통해 이번 학기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아주대에 이어 빅4 의대와 고려대 의대 학생 대표도 공동성명을 내고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발표했다.
대학들은 학칙에 따라 수업 불참 학생을 유급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고려대 의대는 이미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본과 3~4학년 의대생에 대해 유급 처분을 내리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 등 다수 의대에서도 유급 처분을 조만간 확정할 것으로 예상돼 수업 불참 기조가 유지될 경우 대규모 유급 사태는 불가피하다. 교육부가 수업 참여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모집 인원을 동결하겠다고 밝힌 만큼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할 경우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이 2000명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교육부는 수업 참여 여부를 좀 더 지켜본 후 이르면 다음 주 정원을 확정할 방침이지만 의대생들이 강경 투쟁을 고수하면서 의대 교육 파행 우려는 커지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의정 갈등을 풀 키를 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전날 만나 의대 교육 파행 해법 등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정부와 의협이 의대 정원 등에 대한 입장 차를 좁히고 타협을 이뤄낼 경우 의대생 수업 복귀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