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에 처음으로 연구용 원자로 기술을 수출한다. 1959년 미국으로부터 처음 연구용 원자로를 도입해 기술을 발전시켜온 한국이 66년 만에 관련 기술을 역수출하는 쾌거를 이룬 것이다. 정부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연구용 원자로 수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한국이 기술 우위에 있는 핵연료 공급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현대엔지니어링, 미국 엔지니어링 컨설팅 회사인 MPR이 참여한 한국 컨소시엄이 미국 미주리대가 국제 경쟁입찰로 발주한 ‘차세대 연구로 사업(NextGen MURR)’의 초기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초기 설계는 연구용 원자로 개념 설계에 앞서 건설 부지 조건, 환경영향평가 등 사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로, 이번 계약 금액은 1000만 달러(약 142억 원) 수준이다. 사업은 1단계인 초기 설계와 2단계인 개념·기본 설계, 3단계인 건설 순으로 진행된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초기 단계에서 선정된 컨소시엄은 대개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다음 단계에서도 최종 협상 대상자로 선정된다. 계약 금액은 다음 단계로 진행될수록 더 늘어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기자단 브리핑에서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 시장에서 기술수출 성과를 거둔 것은 순수한 과학기술 성과일 뿐 아니라 한미 기술 동맹, 산업 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계약은) 세계 연구로 수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서 우리가 연구로 수출 선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청신호”라고 말했다.
연구용 원자로는 핵분열 때 나오는 중성자와 방사선을 이용해 의료용 동위원소, 신소재 개발 등 각종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원자로다.
미주리대는 이미 고농축우라늄 연료를 사용하는 출력 10㎿(메가와트) 규모의 연구로를 보유하고 있다. 해당 연구로는 주로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는 데 활용되는데 미국 내 연구로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연구로에서 생산하는 동위원소는 암 환자 치료 등에 활용된다. 하지만 해당 원자로는 1966년 가동을 시작해 노후화된 상태로, 미주리대는 동위원소 생산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2023년 이번 차세대 연구로 건설 사업을 공고했다. 경쟁입찰에는 한국 컨소시엄과 한국의 가장 큰 경쟁 상대이기도 한 아르헨티나의 인밥 컨소시엄 등 7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그중 한국은 컨소시엄 간 유기적 협력, 고밀도 우라늄 핵연료 기술과 연구로 수출을 통해 갖춘 경험, 정부 지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은 1959년 7월 미국으로부터 연구용 원자로 1호기(TRIGA Mark-Ⅱ)를 도입하면서 관련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1995년에는 국내 최초 연구로인 하나로를 자력으로 만들었고 2014년 말레이시아 연구로 디지털 시스템 구축 사업, 2017년 요르단 연구로 설계 및 건설 사업 등으로 수출 성과를 내왔다. 지난해에는 방글라데시 연구로 디지털 시스템 구축 사업과 네덜란드 델프트 연구로 냉중성자원 제작 및 설치 사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번 계약으로 자신감이 붙은 정부는 ‘연구용 원자로 해외 진출 활성화 전략’을 마련해 원자로 기술수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재 전 세계 200여 기 원자로 중 70% 이상은 40년 이상 된 노후화 시설이다. 특히 방사성의약품 생산에 필수적인 동위원소 수요가 늘어나 신규 연구로 건설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 차관은 “국가별 원자력 도입 성숙도에 따른 맞춤형 진입 전략을 세우고 연구로 수출과 함께 우리가 기술 우위에 있는 핵연료 공급 수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에 대한 미국 에너지부(DOE)의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된 우려에 대해 이 차관은 “이번 계약은 최근 불거진 민감국가 지정과 관련해 한미 간 과학 협력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민감국가 지정과 별개로 양국 간 과학계 협력은 지속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달 14일 DOE 산하 아르곤국립연구소(ANL)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달 중 소듐냉각고속로(SFR) 공동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핵융합 분야에서도 한국 핵융합연과 프린스턴플라스마물리연구소(PPPL), 지에이(General Atomics)사 등 미국의 주요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4개 과제가 원활히 추진 중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진행 중인 고온 초전도 공동 연구도 이달 중 신규 착수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