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경선 후보가 미국 전략자산을 상시 순환 배치해 북핵 억지력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안철수·유정복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측과의 인맥을 통해 외교·안보 문제에 대응하겠다고 내세웠다. 반도체 전문가 출신 양향자 후보는 '기술 패권' 없는 외교·안보·국방은 불가하다고 강조했다.
네 후보는 19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회에서 외교·안보 분야 비전을 이처럼 밝혔다. 토론에서 '북핵 대응' 키워드를 고른 김 후보는 "한미동맹을 더 튼튼하게 해 미국 전략자산을 상시 순환 배치해 북한 핵 억지력을 높여야 한다"며 "한미일 동맹 체제 아래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등 여러 위협을 잘 막아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일각의 자체 핵 개발 주장에 "정치적 구호는 되지만 실질적이지 않다"며 "일본처럼 재처리 수준을 한 단계 높이거나 미국과는 긴밀하게 협력하며 대한민국 핵 방어 능력, 대응능력, 핵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정부가 1기 때처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하려 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즉석 질문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핵 감축으로 노벨상을 공동 수상하려는 명분으로 뒷거래가 있을 수 있는데, 미국 정부가 가장 신뢰하는 게 김문수"라며 "트럼프 대통령 주변 핵심 인사와 저는 신뢰 관계가 형성돼있다"고 했다.
안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 일론 머스크와 펜실베이니아대 동문이라면서 이너서클을 통한 '빅딜'을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개별기업으로 그냥 미국에 주는 게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큰 규모에서 미국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건 받자는 게 기본 생각"이라며 "대선에서 당선되면 곧바로 미국에 달려가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하겠다"고 밝혔다.
유 후보는 "저는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가서 그의 절친인 마크 번즈 트럼프 대통령 취임 기념행사 위원장, 상·하원 의원들을 만나고 헤리티지재단, CSIS재단을 방문해 한미관계를 충분히 논의했다"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바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이런 문제를 허심탄회 논의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또 "올해 9·14인천상륙작전 75주년으로, 마크 번즈 위원장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초청장을 보냈고 '오는 데 노력하겠다'는 확답을 받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한국과 미국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적합한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양 후보는 "반도체 패권 없는 외교·안보·국방은 불가하다"며 "결국 반도체 패권밖에 우리 무기가 아직 없다"고 말했다. 그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앞에서 절절맨다. 기술 패권이 없기 때문"이라며 "AI 방패, 바이오 방패, 모빌리티 방패, 로봇 방패도 있다. 다음 세대에 절대 전쟁을 물려줘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