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부산문화재단과 함께 ‘한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과거 양국 성신교린(誠信交隣)의 상징인 ’조선통신사(역사적 명칭은 ‘통신사·通信使’) 행렬’을 재연한다고 22일 밝혔다. 재연된 조선통신사 행렬은 서울 경희궁을 시작으로 부산과 일본 오사카, 요코하마 등을 거쳐 도쿄까지 이어진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첫 번째 재연행사는 4월 24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경희궁에서 열린다. 무용단 공연을 시작으로 삼사(정사, 부사, 종사관) 임명식과 취타대, 풍물패 공연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약식으로 재연한다. 특히 뮤지컬 배우 남경주 씨가 임금 역할을 하고, 일본 도쿄 신오쿠보역 의인 고 이수현 씨의 어머니가 정사 역할로 참여해 행사의 의미를 더한다.
이어 4월 25일부터 27일까지는 부산에서 거리공연, 드론쇼 등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 이후 부산에서 출항한 조선통신사선이 오사카까지 실제 이동한 경로(부산-쓰시마-시모노세키-구레-후쿠야마-세토우치-다츠노-오사카)를 따라 선상 박물관 전시와 공연을 펼친다. 5월 13일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 날에는 인근 선착장에서 입항 기념식과 공연을 펼치고 엑스포 공식 행진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연한다.
7월에는 부산국립국악원이 요코하마에서 통신사의 여정을 그리는 창작 무용극 ‘유마도’를 공연한다. 조선통신사 행렬의 마지막 여정은 도쿄에서 장식한다. 9월 말 도쿄에서 현지 어린이 참가자를 포함한 210여 명이 함께 대규모로 행렬을 재현하고 ‘한일 문화 콘퍼런스’ 등 문화예술행사 등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지난 2018년 전통선박 재현연구 사업의 하나로 제작한 목조 ‘조선통신사선’으로 4월 28일 부산에서 출항해 15일 동안 대한·대마해협을 건너 5월 11일 오사카에 입항하는 실제 해상 여정에 돌입한다. 역사상 조선통신사가 마지막 갔던 1763~1764년 이후 261년만의 오사카 항로가 재현되는 셈이다.
조선통신사선의 본격적인 출항에 앞서 4월 21일 목포에서 ‘안전 뱃고사’를 치렀고 이어 4월 27일 부산에서 ‘안전 기원제’(범어사), ‘출항식’(용호만 부두), ‘해신제’(영가대)가 차례대로 진행된다. 이후 조선통신사선은 4월 28일 부산을 출항해 약 15일간 약 650㎞(350해리)를 항해해 5월 11일 오사카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항로에 있는 일본 ‘세토내해’(시모노세키~오사카) 지역에서는 지역민을 비롯한 각국 관람객들이 직접 조선통신사선에 승선하여 조선통신사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하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선상박물관을 관람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도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5월 13일 오사카 ATC부두에서는 오사카 시민들이 대거 참여하는 조선통신사선의 오사카 입항식이 열리고, 5월 25일 시모노세키에서는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는 조선통신사선 항해단의 역사적 여정을 기념하는 귀항 환송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같은 시기 한국과 일본에서는 조선통신사 관련 다양한 전시도와 공연도 만나볼 수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개막식(4월 24일)을 시작으로 4월 25일부터 6월 29일까지 ‘조선시대 통신사 특별전 ’마음의 사귐, 여운이 물결처럼’을 개최한다. 일본 에도도쿄박물관과 오사카역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의 특별협력으로 양국이 소장하고 있는 통신사 행렬도와 필담창화집 등 유물 128점을 통해 통신사 여정에 관한 다양한 기록은 물론 이들과 함께했던 문인, 예술인들의 작품을 알린다. 한일 국제 학술대회와 영화상영회,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아울러 국립국악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무형유산원 등 국내 국공립 기관들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한 문화교류 행사를 연중 이어간다. 지난 3월에는 주도쿄 한국문화원에서 한복, 한식, 한지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와 토론회를, 4월 19일 도쿄에서는 한국의 무형문화재인 종묘제례악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구미오도리의 합동 공연을 개최했다.
한일 클래식 예술가들의 갈라 콘서트(6월 17일, 도쿄)와 국립무형유산원이 무형문화유산인 ‘선자장(부채)’과 ‘나전장’의 공예작업을 공연으로 제작한 작업 무용극(6월 28일, 오사카),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관현악단 ‘하트하트 오케스트라’와 현지 마림바 연주자의 협연(8월 26일, 오사카)도 준비되어 있다.
양국의 국립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과 도쿄국립박물관)은 대표 소장품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선보이는 교환전시를 개최(2025년 6~8월 국립중앙박물관, 2026년 2~4월, 도쿄국립박물관)할 예정이고, 국립현대미술관과 요코하마미술관도 한일 현대미술전(12월) 개최를 계획하고 있다. 여행지로서의 한국의 매력을 알리는 ‘K관광 로드쇼’를 아오모리(3월 20일), 후쿠오카·히로시마·도쿄(4월 8~10일)에 이어 삿포로(5월 17~18일)에서도 개최한다.
민간·청소년 간 교류도 추진한다. 양국의 자전거 동호인들이 국내와 일본의 자전거길을 함께 달리고, 15개 스포츠 종목에서 우수 청소년 600여 명을 초청해 교류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한국에서 한일 고교야구팀의 교류전도 열릴 예정이다.
문체부 윤양수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조선통신사는 양국 간 외교적 신뢰와 문화교류의 상징이었다”라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로 이어질 새로운 협력의 길을 열어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