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3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한미통상협상 추진에 “자기 출마 장사를 위해 졸속협상과 타결을 압박해 협상팀을 흔들지 말라”고 지적했다. 한 권한대행의 과거 중국과의 마늘 협상 이면 합의 논란을 재소환하면서 ‘경거망동’을 경고하기도 했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관세협상차 미국에 도착한 최상목 부총리와 안덕근 산자부 장관은 타결을 새 정부가 해야 하고 대행체제는 예비협상에 신중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며 “한 대행의 졸속타결 방침에 대한 협상단 이견이 나타나고 있다”고 짚었다.
전현희 최고위원도 “한덕수 내란내각에 국운이 달린 한미통상협상을 맡길 수 없다”면서 “한 대행의 졸속협상 강행의도는 미국을 이용한 사전선거운동이자 ‘대선 스펙 쌓기 졸속 협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한 권한대행의 외신 인터뷰를 두고 “미국 협상 당사자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심히 걱정”이라며 “공직자들은 국민 전체를 위한 봉사자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홍성국 최고위원 또한 이날부터 시작되는 미국과의 관세협상을 “국익을 건 고차방정식”이라며 “한 대행은 범정부 차원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협상에 나서는 동시에 다른 비관세 장벽에 대한 공격을 어떻게 막을지 부처간 의견 조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한 대행을 향해 “(2000년) 통상교섭본부장 재직 당시 중국과의 마늘 협상을 주도했다가 중국산 마늘 수입을 완전 자유화했던 사실을 은폐한 게 드러났다”며 “퍼주기 아이콘”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졸속 타결되면 새 정부 집권 이후에도 뒤집기 힘든 대형 국익 훼손 참사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