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청년의 취업 초기 상담부터 고용 유지까지 모든 과정을 통합 지원하는 체계가 마련된다.
부산시와 부산고용노동청은 13일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청년 취업성공풀(Full) 패키지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과 김준휘 부산고용노동청장 등이 참석해 지역 청년의 안정적인 취업과 정착을 위한 협력을 다짐했다. 이번 협약은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가 협력해 초기상담부터 기업 연계, 적응, 고용 유지에 이르기까지 청년 고용의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전국 최초의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시는 청년 1인 당 최대 100만 원의 ‘청년취업도약지원금’을, 고용청은 기업에 청년 1인 당 최대 720만 원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각각 지원한다. 총 100억 원 규모로 혜택을 받는 청년은 12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시는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지역 청년이 1년 이상 고용을 유지할 경우, 청년에게 도약지원금을 직접 지급하고 권역별로 청년구직관리책임제를 운영해 구직 상담부터 현장 탐방, 취업 연계, 직장 적응 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후 관리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방침이다.
고용청은 참여 기업에 대한 인건비 지원 외에도 기업 진단 자문, 고용환경 개선 상담, 현장 밀착 관리를 통해 청년 고용 안정성과 기업 만족도 향상에 나선다. 또한 정책 개선을 위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중앙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이번 패키지는 단순 채용 지원을 넘어 초기상담부터 기업 적응, 고용 유지까지 청년 고용의 전 주기를 포괄적으로 지원해 청년 고용의 안정성과 기업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이를 통해 청년들이 공감하고 정착할 수 있는 ‘일자리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부시장은 “청년 고용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상황에서 이번 협약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이자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채용일 기준 부산시에 주민등록이 된 만 39세 이하의 청년이 대상이며 오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부산경영자총협회나 부산경제진흥원에서 신청 가능하다. 모집공고 이전인 지난달 1일 이후 취업한 청년도 사후 구직상담 참여 등 필수 조건을 충족하면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