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경제적 영향이 늦어도 8월 지표부터 가시화된 후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올 하반기 정점을 찍고 소비 둔화는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관측됐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30일(현지 시간) ‘2025년 미국경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서 올 하반기 미국 경제 전반에 관세 인상의 영향이 표면화하면서 올해 미국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3%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집계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올해 근원 PCE 전망치는 3.1%이며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3.5%, 56곳 월가 투자은행(IB)의 전망치 중간값은 3.0%다.
한은은 5월 물가 지표까지는 관세정책 시행 전 기업이 확보해뒀던 재고가 수입 가격 급등을 상쇄하면서 물가 상승세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과거 관세 발효 후 2~4개월 뒤 물가 지표에 정책 효과가 나타났던 점을 고려하면 4월 2일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효과가 8월 지표에는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한은의 관측이다. 다만 한은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기보다 1회에 그친다는 전망이 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이라고 전했다.
하반기에는 경제 둔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국의 주요 기관들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1.5% 안팎으로 하향 조정했다. 기업 투자가 하반기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소비 둔화세도 나타날 것으로 관측돼서다. 한은 뉴욕사무소 관계자는 “관세의 물가 여파는 2025년 하반기에 집중되고 2026년 1분기에 대부분 소멸된다는 것이 현재 월가 기관들의 기본 전망”이라며 “반면 소비 둔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연 효과가 있어 2026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관세 협상이 난항을 거듭할수록 기업 투자가 부진해지고 관세율까지 높아지면 현재 40%인 침체 확률도 더 커질 것”이라며 “특히 상대국의 보복 관세가 가시화한다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다른 나라보다 더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