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반침하(싱크홀)’ 사고 예방을 위해 30년 이상 하수관로도 전수조사를 진행한다. 서울시는 또 1352억 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해 연간 정비하는 하수관로 물량을 2배 늘리기로 했다.
9일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 9월께 30년 이상 원형 하수관로 전수조사에 착수한다. 이번 조사는 2년간 진행되며 종로·광진·동대문·중랑구 등 25개 자치구 내에 속한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 약 1848.4㎞를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가 이같이 전수조사에 나선 것은 연이어 싱크홀 사고가 발생하며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싱크홀 사고는 노후 하수관이 대표적 원인으로 거론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867건 가운데 하수관 손상이 원인으로 분류되는 사고가 394건(45.4%)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 서울시 하수관로 1만 866㎞ 중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는 6029㎞로 전체의 56% 수준이다. 서울시는 지난 5년간 자체 예산 약 1조 원을 투입해 노후 하수관로를 교체했다. 해마다 연평균 2000억 원 이상을 투입해 100㎞를 정비하고 있으나 매년 노후 하수관로로 분류되는 하수관로만 150㎞에 달한다.
이에 서울시는 전수조사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는 한편 시급한 하수관로부터 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노후된 하수관로 정비 규모를 기존 100㎞에서 200㎞ 이상으로 늘리고 예산은 연간 최소 4000억 원 수준으로 편성할 계획이다. 올해 서울시는 노후된 하수관로에 사용할 예산 1352억 원을 추가 책정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싱크홀 현상이 증가하며 시민들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사회문제로 대두됐다”며 “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노후관로 정밀 조사를 시행해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30년이 도래한 하수관로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으며 올 들어 ‘서울특별시 하수도 사용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통과됨에 따라 30년 이상 하수관로도 조사를 결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시장이 ‘설치 후 30년이 경과한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실태 조사 주기를 탄력적으로 정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