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025년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을 공모한 결과 울산, 제주, 충북을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는 교통·안전 등 다양한 도시데이터를 모아놓은 플랫폼이다. 국토교통부는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여러 도시에 활용할 수 있는 국민 체감형 솔루션을 발굴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 올해가 첫 번째 공모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에는 국비 최대 10억 원이 지원된다. 울산은 가스, 전기, 수도 등 에너지 데이터 기반의 ‘AI 예측형 빈집 관리 솔루션’을 구축할 예정이다.
제주는 고질적인 교통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시, 서귀포시와 함께 ‘공영주차장 스마트 안전 AI 분석 솔루션’을 구축한다. 충북은 제천시와 협력해 ‘생활인구 기반 지방소멸 대응 솔루션’을 만든다. 지역 내 도시·농촌 데이터를 수집해 정주대책 마련을 위한 분석 체계를 수립할 예정이다.
윤종빈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장은 “최근 AI 등 첨단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확산되고 있는 경향을 반영해 이번 공모에서는 스마트 도시 데이터허브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솔루션들이 주로 제시됐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도시데이터 활용이 보다 활발해지고, 인접한 지자체 간 연계 활용이 가능한 공동 솔루션도 개발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