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 5명 중 1명꼴로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 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약 300명의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의 재산 공개 신고서를 검토한 결과 약 70명이 가상자산을 보유하거나 가상자산 및 블록체인 기업에 투자한 것으로 파악됐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은 전체 최소 1억 9300만 달러(2684억 원)의 가상자산을 신고했다. 가장 많은 규모를 보유한 사람은 페이팔 공동 창업자 출신인 주 덴마크 미국 대시 켄 하워리로 1억 2000만 달러(1670억 원)에 달하는 가상자산을 보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100만 달러(709억 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보유해 2위에 올랐다.
내각 구성원 중에서는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년간 비트코인을 공개적으로 지지해온 케네디 주니어 장관은 최소 100만 달러(13억 9410만 원)어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그간 비트코인 관련 행사에 수차례 참여해 "비트코인은 자유의 화폐이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비트코인을 포함해 솔라나·라이트코인 등 다양한 가상자산에 투자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소 56만 7000달러(7억 9034만 원)어치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나 케네디 주니어 장관의 뒤를 이었다. JD 밴스 부통령도 최소 25만 달러(3억 4848만)에서 50만 달러(6억 9695만 원) 수준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벤처캐피털리스트 출신인 밴스 부통령은 올 5월 ‘비트코인 2025 콘퍼런스’ 강연 이후 트럼프 정치활동위원회(PAC)를 위한 대규모 기부금 모금 행사를 주최하기도 했다.
재무부 수장 스콧 베선트는 최대 50만 달러의 가상자산을 보유했다고 보고했다. 다만 이해 상충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취임 전 자산을 모두 처분했다고 덧붙였다. 재무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기금을 만들고 디지털 자산에 대한 세금 규정을 실행하는 부서다. 베선트 장관은 헤지펀드 키스퀘어그룹을 창립할 때부터 블랙록자산운용의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 꾸준히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WP는 다만 보유 자산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공개되기 때문에 이들이 실제로 보유한 자산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상황이 트럼프 행정부와 가상자산 산업 간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WP에 따르면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가상자산 회사들에 대한 소송 12건 이상을 중단하거나 보류했다. 미국 정부 윤리청의 전 임시 이사인 돈 폭스는 “대통령의 가상자산 투자는 정부 직책을 통한 이익 창출 방법으로 판단할 여지가 있다”며 “가상자산은 추적이 어려워 윤리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