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주요 역점사업들을 대거 반영시키며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의 동력을 확보했다. 가덕도신공항을 비롯한 교통 인프라, 금융·창업, 디지털 신산업, 관광·해양 등 핵심 사업군에 국비가 줄줄이 포함되면서 향후 지역 경제와 산업 생태계에 미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6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부산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6890억원)을 비롯해 도시철도 사상~하단선(300억 원), 하단~녹산선(370억 원), 대저·엄궁·장낙대교 건설(총 490억 원) 등 교통 현안에만 8000억 원대 국비를 확보했다. 지역 사회에서는 “물류·교통망이 보강되면 항만·항공·철도가 결합하는 동북아 복합물류 허브로서 부산의 입지가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금융·창업 부문도 눈에 띈다.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50억 원),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22억 원), 그린스타트업 타운(65억 원)이 반영됨에 따라 ‘아시아 창업도시’로의 도약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디지털·신산업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대전환(70억 원), 에이지테크 실증거점(30억 원),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기술개발(20억 원), 해양·항만 AX 실증센터(3억6000만 원)가 신규 반영됐다. 이는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바이오·에너지 혁신 생태계 확장과 신성장동력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광·문화 부문에서는 K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12억5000만 원)와 낙동선셋화명에코파크(16억6000만 원), 아미산 낙조 관광경관(8억1000만 원), 수상워크웨이(35억원) 등이 포함됐다. 관광산업이 부산의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면서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조선·해양 부문도 핵심이다.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양성센터(111억 원),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혁신특구(18억 원), 중소조선 함정 MRO 지원(49억 원) 등은 글로벌 해양산업 전환기에 부산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시는 향후 국회 심사 과정에서 지역 국회의원들과 공조해 추가 사업 반영을 노린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회 예산심사 일정에 맞춰 ‘국회 상주반’을 가동해 확보 예산을 끝까지 지키고 추가 소요 사업을 정부 예산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연초부터 기존 사업의 추진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신규 사업 발굴에 힘써 왔다. 특히 지난 14일에는 박형준 시장이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직접 만나 핵심 사업의 국비 지원 필요성을 적극 피력했다. 박 시장은 “부산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국비 확보에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