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가입자 휴대전화에서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신종사기 피해자가 199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15일 열린 경찰청 정례브리핑에서 “KT 소액결제 사기 피해자는 현재 199명”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기준 피해자는 경기 광명 118명(7750만원)·서울 금천 62명(3760만 원)·경기 부천 7명(580만 원)·경기 과천 9명(410만 원)·인천 3명(160만 원)으로 파악됐다. 피해 금액은 약 1억 2600만 원으로 추산됐다. 이달 9일 기준 124건에서 사흘 만에 75건이 추가된 것이다.
유 직무대행은 “이 중 124건은 수사를 담당하는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이송해 병합수사 중”이라며 “나머지 75건은 피해자 조사 등 초동조치 이후에 다시 경기남부청 사이버수사과로 이송할 예정”이라고 진행 상황을 밝혔다.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광명시·금천구·부천시·과천시·인천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자신도 모르게 휴대전화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이 구매되거나 교통카드가 결제돼 수십만 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사건이 잇달았다.
피해자들은 모두 통신사로 KT를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때문에 가해자들은 KT와 관련된 취약점을 이용한 것이 추정되고 있다. KT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팸토셀)이 자사 통신망에 접속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도 수사 중이다. 유 직무대행은 “현재 국제 공조를 통해 해킹 공격 주체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이 사건은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수사팀을 꾸려 디지털 포렌식 분석 등을 통해 악성코드 침투 방식과 해킹 공격 세력을 들여다 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