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정책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소매 판매가 8월에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호조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16일(현지 시간) 미국 상무부는 8월 소매판매액이 전월대비 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0.2% 증가)를 웃도는 수치다.
13개 품목 중 9개가 증가세를 보였는데 특히 온라인 소매업체, 의류 매장, 스포츠용품이 신학기를 앞두고 특수를 누렸다. 변동성이 큰 휘발유·건축자재·음식 서비스를 제외한 핵심 소매판매(컨트롤그룹)은 전월 대비 0.7% 늘었다. 직전 7월 소매판매 증가율도 0.5%에서 0.6%로 상향 조정됐다.
월간 소매 판매 지표는 전체 소비 중 상품 판매 실적을 주로 집계하는 속보치 통계로, 미국 경제의 중추인 소비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진다. 미국 소매판매는 트럼프 행정부가 본격적인 관세 전쟁을 시작한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전월 대비 감소했다가 6월 이후 다시 증가 추세다.
블룸버그는 경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지출을 늘린 이유를 “임금 상승률은 둔화됐지만 많은 근로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여전히 물가상승률을 웃돌고 있으며 특히 부유층은 주식 시장 호황의 수혜를 누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발표 이후 미국 증시 선물은 상승세를 보였고 국채 수익률도 동반 상승했다. 소비 지출은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만큼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주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는 17일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