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골프먼슬리는 창간 3주년을 기념해 우리나라 골퍼들에게 물었다. ‘골프장 갈 때 뭐부터 따지세요?’ ‘골프 꽤 잘 친다 하는 기준은 몇 타일까요?’ ‘드라이버 교체 주기는?’ ‘그린피·캐디피 적정가는?’ ‘적당한 멀리건 횟수는?’ ‘최악의 꼴불견 골퍼는?’….
설문은 7월 말부터 8월 12일까지 2주 간 서울경제신문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했다. 카카오골프예약, 김캐디, AGL, 엑스골프 등 국내 대표적인 부킹 사이트들도 ‘서울경제 골프먼슬리 창간 3주년 기념 설문’ 배너 등을 자사 애플리케이션에 띄워 설문에 동참했다.
총 812명이 응답한 가운데 연령별로는 40대가 46.9%로 가장 많았고 50대(26.1%), 30대(18.9%), 60세 이상(5.7%), 20대(2.5%) 순이었다. 남성 골퍼가 86.7%였고 구력이 1~5년이라는 응답이 55.7%였다. 6~10년은 19.4%, 10~20년 15.7%. 20년 이상도 9.1%나 됐다. 전체 설문은 서울경제 골프먼슬리 9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멀리건은 전·후반 1개가 국룰?
그린에서 컨시드 거리에 대한 문항에 퍼터 길이 안쪽이나 1m 이내여야 한다는 응답이 70%에 육박했다. 그럼 멀리건은?
전·후반 1개씩이 가장 많았지만 ‘유연하게’라는 답변도 20% 넘게 나왔다. 멀리건은 없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10% 이상으로 집계돼 골퍼들 사이에 멀리건 사용에 대한 생각이 상당히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바지 라운드 문화는 더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반바지 허용에 표를 던진 골퍼가 97%나 됐다. 직장 상사의 알까기를 ‘용감하게’ 지적하겠다는 답변이 24%나 돼 눈길을 끌었으며 라운드 중 최악의 빌런은 캐디 탓하는 골퍼, 투머치 토커, 상습 룰 위반자로 나타났다.
1. 멀리건 사용, 이 정도가 적당하다
A. 전·후반 1개씩 43%
B. 실력, 경기 속도 따라 유연하게 26.5%
C. 멀리건은 없어져야 11.9%
D. 18홀에 1개 10.5%
E. 18홀 3개 8.1%
2. 반바지 라운드 괜찮나요?
A. 괜찮다 96.7%
B. 안 된다 3.3%
3. 그린보수기 써본 적 있으세요?
A. 그렇다 51.4%
B. 아니다 39.7%
C. 그게 뭐죠? 9%
4. 당신이 목격한 가장 흔한 룰 위반은?
A. 언제나 좋은 곳에 옮겨 놓고 치는 터치 플레이 54.9%
B. 벙커에서 모래에 클럽 접촉하기 25.9%
C. 사라진 볼을 귀신같이 찾는 알까기 12.6%
D. 마크할 때마다 홀과 가까워지는 동전치기 4.3%
E. 클럽 14개 초과 2.3%
관련기사
5. 직장 상사와 라운드에서 알까기를 목격했을 때 지적할 것인가, 눈감을 것인가?
A. 못 본 척한다 75.6%
B. 정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지적한다 24.4%
6. 다음 중 최악의 꼴불견 골퍼는?
A. 실수하면 캐디 탓하는 골퍼 27%
B. 남이 샷할 때도 멈추지 않는 투머치 토커 26%
C. 룰 위반을 일삼는 골퍼 24.4%
D. 틈만 나면 가르치려 드는 골퍼 16%
E. 너무 짧은 치마 등 민망한 옷차림 4.8%
7. 동반자 기분을 맞춰주기 위해 흔히 하는 거짓말은?
A. 들어간 거나 다름없습니다 43.3%
B. 스윙이 좋은데, 레슨 받으시죠? 34.6%
C. 엄청난 장타자신데요 14.2%
D. 옷이 너무 잘 어울려요 3.9%
E. 굿 샷 0.9%
F. 나이스 샷 0.4%
8. 라운드 중 화가 나 클럽으로 땅을 내리쳐본 적 있는지
A. 없다 66.7%
B. 있다 33.3%
9. 잘못 친 샷, 잘못된 판단에 대한 후회는 어느 정도 오래가는지
A. 다음 홀 가면 잊는다 59.5%
B. 라운드 끝날 때까지 생각난다 29.9%
C. 하루 종일 간다 8%
D. 1주일 넘게 생각난다 2.6%
[서울경제 골프먼슬리]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