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부가 여전히 비핵화를 최종 목표로 유지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강한 억제력, 즉 핵무력을 중추로 하는 힘에 의한 평화유지, 안전보장 논리는 우리의 절대불변한 입장"이라고 ‘핵포기 불가’를 재차 강조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7일 김 위원장이 전날 핵 관련 과학자와 기술자들을 만난 뒤 이달 21일 자신의 최고인민회의 연설 내용을 상기하며 "국가의 핵대응태세를 계속 진화시키는 것은 공화국의 안전환경상 필수적인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국가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가장 정확한 선택이며 우리가 견지해야 할 변할 수 없는 의무"라고 단언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현 정부의 '중단-축소-비핵화'라는 '3단계 비핵화론'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거론하며 “개인적으로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좋은 추억이 있다, 비핵화를 털어버리면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국가의 주권안전과 이익, 발전권을 믿음직하게 담보할 수 있는 핵방패와 검을 부단히 벼리고 갱신해야 한다"며 "당과 공화국 정부는 핵기술분야에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모든 가능성과 조건을 최우선적으로 제공,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핵물질 생산 부문의 올해 '능력 확장계획 추진 실태'에 대한 보고를 듣고 핵무기연구소의 최근 사업 및 중요 생산활동에 대해 요해(파악)했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그는 "핵물질 생산 부문과 핵무기연구소에서 우리 당이 제시한 새로운 중대전략의 두 가지 과업을 철저히 관철한 결과 나라의 핵능력 고도화의 중요 고리들이 완벽하게 풀렸다"며 만족을 표시했다. 다만 북한 매체는 '두 가지 과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