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사상구 새벽로에서 잇따라 발생한 땅꺼짐(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이 도시철도 공사 과정에서의 ‘부실 차수벽 시공’ 때문이라는 공식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는 사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하시설물 정비와 상시 모니터링 강화 등 후속 대책에 나선다.
부산시와 지하사고조사위원회는 1일 사고 원인 규명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지반·지질 특성, 지하수위, 지하시설물 현황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1공구 공사에서 차수벽체 시공 품질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지하수와 흙입자 유출을 차단하지 못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당초 해당 구간은 지반 특성을 고려해 ‘CIP 겹침주열말뚝’ 공법으로 설계됐으나, 지하매설물 간섭과 교통 혼잡 우려로 ‘H-Pile+토류벽 콘크리트’ 공법으로 변경됐다. 이 과정에서 보완책으로 ‘SGR 차수공법’이 적용됐지만, 그라우팅 재료가 충분히 주입되지 못했고 매설물 구간에서도 차수 기능이 완벽히 확보되지 않았다.
그 결과 굴착 중 차수벽체에서 누수가 발생했고 지하수위 저하와 함께 흙입자가 유출되며 지반 내 소형 공동(空洞)이 형성됐다. 이후 4월 12~13일 집중 강우와 하수관 누수 등이 겹치면서 차수벽체가 제 기능을 상실했고 공동이 확대돼 대규모 땅꺼짐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조사위는 재발 방지를 위해 수직형 고압분사식 차수그라우팅 보완, 파손된 지하시설물 정비, 자동계측 기반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지반침하위험도 평가 의무화 등을 권고했다.
시는 이미 지난 4월부터 도로지반침하 특별대책 전담조직(TF)을 꾸려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17차 회의를 거치며 지표투과레이더(GPR) 집중 탐사, 하수박스 보강, 상수도관 원격 누수 감시, 지하수위 계측 확대, 노후 하수시설 정비 등을 병행 중이다.
민순기 시 도시공간계획국장은 “사고조사의 목적은 원인을 규명해 유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며 “시민 불안을 조속히 해소할 수 있도록 위원회의 대책을 부산교통공사 등 관계부서가 신속히 이행하도록 권고하고 관련 TF를 통해 재발 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사고 조사 결과 전문 보고서는 부산시 누리집 ‘지반침하 정보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