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시가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산대교 통행료 50% 지원 카드를 꺼내들자 경기도가 하루 만에 일산대교 전면 무료화를 발표하며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김포시가 경기도에 일산대교 무료화 방안 마련을 촉구한 직후 일선 지자체와는 논의도 없이 지역구 국회의원과 긴급회동을 갖고 ‘깜짝’ 발표를 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일 고양·파주·김포시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과 긴급회동을 열고 “경기도가 먼저 통행료의 절반을 부담하고, 나머지 절반은 중앙정부와 기초지자체가 분담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내년 1월부터 1200원의 통행료 중 50%인 600원만 부담하면 된다. 도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이 이뤄질 경우 완전 무료화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김병수 김포시장이 김포시에 등록된 차량에 대해 일산대교 통행료 50%를 지원하겠다고 밝히면서 경기도에 교통비 부담 방안을 마련하도록 촉구한 지 하루 만에 발표다.
특히 그동안 국회나 관계 지자체와 논의가 없던 경기도가 지역구 의원들과 긴급회동까지 열고, 이같이 발표한 것은 정치권에서도 이례적이라는 반응이다. 전날 공지한 이날 김 지사 일정에는 일산대교 무료화 추진 발표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김 지사가 올 연말 전에는 일산대교 무료화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은 하고 있었으나 국회의원들과 긴급회동까지 한 걸 보면 마음이 급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김포시가 김포시민을 대상으로 통행료 지원 발표를 한 것이 김 지사의 발걸을 재촉하게 된 셈”이라고 평가했다.
일산대교는 한강을 횡단하는 교량 중 고속도로를 제외하면 유일한 유료 교량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마지막 결제를 한 사업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해 대법원에서 패소했다.
도는 일산대교 매입 방안도 고려했지만 5000억 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필요해, 통행료 재정 지원쪽으로 선회했다. 경기도가 일산대교 통행료의 50%를 지원하는 데는 연간 150억~200억 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