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국민연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28 17:30:23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도입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지난 27일 정부는 ‘2018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하면서 내년 하반기 국민연금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기로 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연기금·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가가 투자하는 회사의 배당, 사외이사 선임 등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해 기업가치를 높이도록 하는 의결권 행사 지침이다. 지난해 말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 원칙이 공표됐으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국민연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28 17:29:31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도입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지난 27일 정부는 ‘2018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하면서 내년 하반기 국민연금에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기로 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연기금·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가가 투자하는 회사의 배당, 사외이사 선임 등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해 기업가치를 높이도록 하는 의결권 행사 지침이다. 지난해 말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 원칙이 공표됐으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최저임금에 상여금 포함-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21 17:08:36최저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해야 한다는 재계, 특히 중소기업계의 요구에 노동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내년 최저임금이 시급 7,530원으로 올해보다 16.4% 인상된 가운데 재계는 경영 압박을 이유로 최저임금 범위에 정기상여금과 숙식비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행 최저임금법은 기본급과 직무·직책수당만 포함되고 상여금과 식비·복리후생비 등은 빠져 있다. 지난 6일 최저임금위원회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가 연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최저임금에 상여금 포함-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21 17:06:56최저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해야 한다는 재계, 특히 중소기업계의 요구에 노동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내년 최저임금이 시급 7,530원으로 올해보다 16.4% 인상된 가운데 재계는 경영 압박을 이유로 최저임금 범위에 정기상여금과 숙식비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행 최저임금법은 기본급과 직무·직책수당만 포함되고 상여금과 식비·복리후생비 등은 빠져 있다. 지난 6일 최저임금위원회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가 연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직업계 고교 현장실습 폐지-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14 17:15:13직업계 고교생의 현장실습 폐지를 놓고 찬반양론이 거세다.현장실습에 참여한 고교생의 사망·부상 사고가 잇따르자 교육부는 지난 1일 노동력 제공 수단으로 활용하는 조기 취업 형태의 현장실습을 내년부터 전면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6개월이던 실습기간을 3개월로 줄이고 노동력 제공이 아닌 학습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현장실습생의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해석되지만 취업에 예민한 특성화고와 관련 기업들의 불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직업계 고교 현장실습 폐지-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2.14 17:15:06직업계 고교생의 현장실습 폐지를 놓고 찬반양론이 거세다.현장실습에 참여한 고교생의 사망·부상 사고가 잇따르자 교육부는 지난 1일 노동력 제공 수단으로 활용하는 조기 취업 형태의 현장실습을 내년부터 전면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6개월이던 실습기간을 3개월로 줄이고 노동력 제공이 아닌 학습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현장실습생의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해석되지만 취업에 예민한 특성화고와 관련 기업들의 불 -
공항 '비즈니스 패스트트랙' 도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산업 기업 2017.12.09 14:14:27비즈니스석 항공권을 예매한 승객이 다른 좌석 승객들보다 빨리 출국할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패스트트랙’이 설치된다면 어떨까?내년 1월 18일 문을 여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에 ‘비즈니스 패스트트랙’ 설치 문제를 놓고 갑론을박이 나오고 있다. 이 문제는 이미 인천국제공항이 10년 전부터 도입을 추진했지만 “국민 정서상 당장은 어렵다”면서 매년 미뤄져 왔다. ‘비즈니스 패스트트랙’은 세계 주요 공항에서 이미 시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투자과열 가상화폐 규제-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30 17:00:50가상화폐 광풍이 불면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비트코인 가격이 지난 28일 코인당 1만달러(약 1,077만원)를 돌파하고 국내 하루 거래액이 조 단위에 이르지만 이렇다 할 안전장치가 없다.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낙연 국무총리가 투기 현상을 지적했으며 금융위원회는 12월 중 가상화폐 거래업을 유사수신업으로 규정하고 가상화폐를 통한 자금조달(ICO)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정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투자과열 가상화폐 규제-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30 17:00:06가상화폐 광풍이 불면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비트코인 가격이 지난 28일 코인당 1만달러(약 1,077만원)를 돌파하고 국내 하루 거래액이 조 단위에 이르지만 이렇다 할 안전장치가 없다.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낙연 국무총리가 투기 현상을 지적했으며 금융위원회는 12월 중 가상화폐 거래업을 유사수신업으로 규정하고 가상화폐를 통한 자금조달(ICO)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정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카풀앱 서비스 제한-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23 17:18:43출퇴근길 자가용을 함께 이용토록 중개해주는 카풀앱의 영업확대를 두고 찬반 양론이 맞서고 있다.카풀앱 ‘풀러스’는 그동안 출근(오전 5시~11시)과 퇴근(오후 5시~다음날 오전 2시) 시간을 분류해 서비스했는데, 지난 6일 카풀 서비스를 24시간 체제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현행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은 ‘출퇴근 시 승용차를 함께 타는 경우를 제외하고 자가용 자동차를 유상으로, 운송용으로 제공·알선해선 안 된다’고 정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카풀앱 서비스 제한-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23 17:18:41출퇴근길 자가용을 함께 이용하도록 중개해주는 카풀앱의 영업확대를 두고 찬반양론이 맞서고 있다.카풀앱 ‘풀러스’는 그동안 출근(오전5시~11시)과 퇴근(오후5시~다음날 오전2시) 시간을 분류해 서비스했는데 지난 6일 카풀 서비스를 24시간 체제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현행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은 ‘출퇴근 시 승용차를 함께 타는 경우를 제외하고 자가용 자동차를 유상으로, 운송용으로 제공·알선해서는 안 된다’고 정해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유료방송 시장점유율 합산규제 연장-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16 16:40:29인터넷TV(IPTV) 등 유료방송의 시장점유율 합산규제를 놓고 찬반양론이 맞서고 있다. 합산규제는 미디어 시장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TV·위성방송·IPTV 등 특정 유료방송사의 가입자가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 수의 3분의1(33%)을 넘지 못하도록 방송법과 IPTV법으로 3년간 한시 규정한 제도다. 현재 유료방송 시장 1위인 KT와 KT에 합병된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가 규제 대상인데 내년 6월 규제 일몰을 앞두고 있어 연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유료방송 시장점유율 합산규제 연장-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16 16:39:42인터넷TV(IPTV) 등 유료방송의 시장점유율 합산규제를 놓고 찬반양론이 맞서고 있다.합산규제는 미디어 시장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TV·위성방송·IPTV 등 특정 유료방송사의 가입자가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 수의 3분의1(33%)을 넘지 못하도록 방송법과 IPTV법으로 3년간 한시 규정한 제도다. 현재 유료방송 시장 1위인 KT와 KT에 합병된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가 규제 대상인데 내년 6월 규제 일몰을 앞두고 있어 연장-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조정 -반대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09 11:22:43현재 만 65세 이상인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연령기준을 높이는 방안을 두고 논란이 뜨겁다.전국 도시철도공사와 지자체들은 무임승차를 만성 적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코레일을 제외한 전국 도시철도에서 발생한 당기순손실 8,395억원의 66%가 무임승차에서 비롯됐다. 고령화에 따른 노령인구 급증으로 지하철 적자 규모가 감당할 수준을 넘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국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조정- 찬성
오피니언 사외칼럼 2017.11.09 11:21:19현재 만 65세 이상인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연령기준을 높이는 방안을 두고 논란이 뜨겁다.전국 도시철도공사와 지자체들은 무임승차를 만성 적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코레일을 제외한 전국 도시철도에서 발생한 당기순손실 8,395억원의 66%가 무임승차에서 비롯됐다. 고령화에 따른 노령인구 급증으로 지하철 적자 규모가 감당할 수준을 넘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국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