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상인의 예(藝)-<53>박이소 '당신의 밝은 미래']허름한 조명기구가 만든 환한 빛...'그늘진 세상'을 비추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8.03.16 15:58:53아, 밝다. 너무 밝다. 미술관 전시장에서 조명이 비추는 곳에는 작품이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조명 앞에는 아무것도 없다. 막힌 벽뿐이다. 박이소(1957~2004)의 ‘당신의 밝은 미래’는 조명 자체가 작품이다. 아니, 정확히는 공사장 등지에서 쓰이는 야외용 전등과 이를 얼기설기 지탱하고 있는 각목들로 이뤄진 이 허름하고 연약한 조명기구와 함께 빛이 비치는 벽구석까지가 작품이다. 혹시 가까운 곳에 음향기기가 있다면 -
[조상인의 예(藝)-<52>조희룡 '홍백매도'] 힘차게 휘어진 둥치...나부끼는 꽃잎...사군자의 '絶頂'을 엿보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8.03.09 14:31:46봄이다. 매화 철이다. 매화 그림이라 하면 스스로 ‘매화 늙은이’라는 뜻으로 ‘매수’라 호를 붙인 조희룡(1789~1866)이 으뜸이다. 매화를 그리다 흰머리가 됐다고 했을 만큼 매화를 좋아한 그는 ‘석우망년록’이라는 저서에서 매화에 몹시 빠져있음을 고백했다. “나는 매화를 지나치게 좋아해서 잘 때는 내가 직접 그린 매화 병풍을 눕는 자리 주위에 둘러쳤고, 매화 시가 새겨진 벼루(梅花詩境硯)를 쓰고 매화 이름이 들어간 -
[조상인의 예(藝)-<51>오지호 '남향집']봄 마중나온 소녀...영롱한 햇살...움트는 생명의 기운을 담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8.03.02 14:49:05볕이 따뜻해졌다. 그늘을 벗어나 볕 자리를 찾아 섰어도 찬바람이 마냥 시리기만 하던 겨울이 끝나간다. 햇볕에 서면 이제 온기가 느껴진다. 어찌나 햇빛이 좋은지 둥치 굵은 고목의 그림자가 검지 않고 파랗다. 태양빛이 너무 환하면 잠시 깜빡이는 눈앞이 보랏빛으로 아찔하게 뒤덮일 때가 있다. 그 파릇한 기운의 그림자가 지붕을 타고 올라 하늘까지 치솟았다. 그림자와 하늘이 같은 파란색이다. 이른 봄볕이 얼음뿐 아니라 그 -
[조상인의 예(藝)-<50>이두식 '축제']강렬한 오방색의 변주...화폭위 신명나는 춤판
문화·스포츠 문화 2018.02.23 14:41:38아주 어릴 적, 꽹과리 소리 캉캉 울리던 농악대 풍물놀이를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을 더듬어 본다. 너무나 강렬했고 조금 놀라기도 했던 것 같다. 당장 나가 어깨춤을 들썩일 정도는 아니었지만 싫지도 않았다. 시원함과 통쾌함이 남았다. 유럽을 대표하는 축제 중 하나인 스위스 루체른의 카니발을 마주했을 때의 첫 느낌도 당혹스러움에 가까웠다. 이 많은 사람들이 왜 이러나, 집단 광기 아닌가 싶었을 정도로 흥에 취한 사람들 -
[조상인의 예(藝)-<49>강세황 '영대빙희도']하얀 얼음호수 위서 활쏘기...담백하게 담아낸 老화가
문화·스포츠 문화 2018.02.09 17:41:16전 인류의 축제인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개막을 알리는 성화가 백자 달항아리 모양의 성화대에 안착했다. 올림픽 발상지인 그리스에서는 고대 올림픽 경기의 생생한 모습, 월계관을 쓰는 우승자의 영광이 채색 도자기에 새겨져 전한다. 하지만 이번에 성화대로 사용된 백자의 시대 조선은 올림픽과 거리가 먼 나라였다. 하물며 동계올림픽 종목인 설상, 빙상 경기는 오죽했겠나. 조선 시대에 그린, 얼음판 위에서 재주와 재능을 겨 -
[조상인의 예(藝)-<48>이암 '모견도(母犬圖)' ]'다복한 가족' 보는 듯 흐뭇
문화·스포츠 문화 2018.02.02 15:38:06붉은 테 목줄을 맨 어미 품으로 강아지들이 파고든다. 윤기 흐르는 어미의 검은 털색을 닮은 검둥이부터 누렁이, 흰둥이까지 세 마리다. 다복하다. 아직 어린 것들이라 어미 젖을 더듬거린다. 극성스러울 정도로 젖을 찾아 문 흰둥이가 아무래도 막내인 성 싶다. 거꾸로 매달리다시피 엄마 품을 차지했다. 그 옆 검둥이도 적극적이다. 늘어뜨린 어미의 긴 앞다리를 들어 비집고 안길 틈을 찾았다. 앙앙거리는 둘보다도 어미 등에 -
[조상인의 예(藝)-<47>나혜석 '자화상'] 강인한 얼굴에 흔들리는 눈빛...新여성의 고뇌를 담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8.01.26 14:47:13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장이 이끄는 북한 예술단 사전점검단이 최근 방남해 강릉과 서울 등지 공연장을 살펴보고 돌아갔다. 하룻밤 자고 간 1박 2일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관심은 별나게 뜨거웠다. 외모에 대한 평가부터 패션과 표정 등에 대한 시시콜콜한 관심이 들끓었다. 다음 달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즈음해서는 북한 선수단 뿐 아니라 예술단과 응원단이 우리 땅을 밟을 예정이건만,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지난 2002년 부산 -
[조상인의 예(藝)-<46>서세옥 '춤추는 사람들']화폭 가득 '무리의 울림'...붓 지난 자리는 그대로 춤사위
문화·스포츠 문화 2018.01.19 15:47:03한 무리의 사람들이 손에 손잡고 어우러져 춤춘다. 한 사람의 오른손은 옆 사람의 왼손을 붙들고, 또 그 손은 위쪽 사람의 발과 연결되고, 아래에 있는 사람의 손으로 또 이어진다. 화면을 가득 채운 사람들이 한 덩어리를 이룬다. 하나라고 외치며 치솟는 우리네, 한민족을 보는 듯하다. 농묵의 짙은 흔적에서 인간의 강렬한 힘이 느껴지고 먹의 번짐에서는 생명력의 파동이 전해진다. 물기 머금은 촉촉한 선에서 시작해 아스라한 -
[조상인의 예(藝)-<45>이인상 '설송도']담담한 먹빛...서릿발 같은 기개...선비의 혼 깃든 雪松
문화·스포츠 문화 2018.01.12 14:33:11훤칠하게 뻗은 낙락장송이 눈앞을 턱 막고 섰다. 그 소나무 참으로 반듯하구나. 곧기가 전봇대 같은 것이 기개가 치솟아 화폭을 뚫었다. 나무 윗부분이 화면 너머로 툭 잘렸으니 그 높이를 가늠할 수가 없다. 호락호락하지 않겠다는 심산인가. 나무 위로 소복소복 눈이 내렸건만 추운 기색은커녕 늠름하기만 하다. 옅고 맑은 먹으로 그린 데다 눈 내린 설경이지만, 독야청청 푸르른 잎은 망설임이 없다. 실제 푸른 색은 조금도 사 -
[조상인의 예(藝)-<44>이성자 '오작교'] 점 하나 하나가 눈물...사무치는 그리움을 그리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8.01.05 15:49:14“이것은 동양에만 있는/ 다리다// 이것은 동양에만 있는/ 눈물이다// 이것은 동양에만 있는/ 그리움/ 아롱진 사랑이다// 동양의 지혜로/ 가로 놓인// 은하수/ 먼 별들의 다리// 일 년에 한 번/ 만났다 헤어지는 사랑을 위한/ 하늘의 다리// 이것은 사랑하는 마음 사이에만 놓이는/ 동양의 다리다// 그리움이여/ 너와 나의 다리여.” 한국적 정신성과 동양의 유산을 간직한 채 서양미술을 받아들여 특유의 추상예술을 완성한 이성 -
[조상인의 예(藝)-<43>김정희 '세한도']고고한 松柏에 빗댄 사제의 情...먹물보다 진한 의리를 담다
ArtSeeing 작가 2017.12.29 16:38:53추운 날씨 탓인가. 따뜻한 커피 한 잔에, 흔들어 쓰는 일회용 손난로 하나에 언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 녹아내린다. 연말연시라 주고받는 시의적절한 안부 이건만 심신이든 혹은 상황과 처지이든 ‘좀 더 추운’ 사람에게는 더 절절하게 들리기 마련이다.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에 제주에서 귀양살이하던 19세기 조선의 천재 추사 김정희(1786~1856)도 그랬다. 제주로 온 지 어느덧 5년째. 찾는 이는 없고 세상에서 잊힐 것 같은 두 -
[조상인의 예(藝)-<42>한묵 '금색운의 교차']강렬한 원색 굽이치는 동심원...숨쉬는 우주를 담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7.12.22 14:39:09어두운 골목길 끝에서 다 큰딸의 늦은 귀가를 기다리던 아버지는 또각또각 발자국 소리에 들고 있던 손전등을 켰다. 스무 살이 넘었어도 딸은 아버지 눈에 여전히 다섯 살, 무작정 “아빠~”를 외치며 달려와 안길 것만 같다. 뛰다 넘어질까 불빛에 눈부실세라 아버지의 전등은 얼굴을 피해 걸어오는 발 앞만 훑어준다. 빙글빙글 춤추는 불빛에 흥얼흥얼 아버지의 노래가 흐른다. 무뚝뚝한 아버지에게 사랑은 말이 아닌 행동이요, -
[조상인의 예(藝)-<41>김규진 '총석정절경도 '금강산만물초승경도']조선의 자부심을 담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7.12.15 17:17:17브루클린에서 바다 건너 바라본 뉴욕 맨해튼 풍경이 딱 이랬다. 하늘을 찌를 듯 솟아오른 건물들이 그리는 화려한 스카이라인은 사람이 그릴 수 있는 가장 큰 그림임을 과시하는 듯했다. 잠시 시간을 100년 전으로 되돌려 대서양과 태평양을 넘어 강원도 동해안으로 가보자. 총석정이다. 강원도 통천군 해안가에 자리 잡은 정자 이름이지만 절벽을 따라 병풍처럼 빽빽하게 늘어선 현무암 돌기둥 일대를 통칭해 총석정이라 부른다. -
[조상인의 예(藝)-<40>권영우 '무제']젊은날의 아픈 초상…찢긴 한지에 스며들다
문화·스포츠 문화 2017.12.08 16:21:14간밤에 눈이 내렸다던가. 사는 동네에 따라 눈이기도 했고 진눈깨비였을 수 있고, 남쪽이라면 비가 내리다 말았을 수도 있겠다. 이도저도 떨어지지 않은 고요한 밤이었다면 추녀 끝에 달랑거리던 물방울이 엮은 고드름이라고 해보련다. 눈이 내리면 꺼내보리라 벼르고 벼르던 권영우(1926~2013)의 1985년 작 ‘무제’이다. 어슴푸레한 겨울밤 갓 내리기 시작한 눈송이처럼 경건하다. 푸른 물감이 스민 화선지 사이로 클로드 아실 -
[조상인의 예(藝)-<39>심사정 '오상고절'] 바위옆 서릿발 뚫고 핀 국화...'선비의 고독한 절개' 화폭에
문화·스포츠 문화 2017.12.01 17:48:10매화는 눈 속에서 꽃망울을 터뜨려 찬바람에 그 향기를 실어 보내고, 난초는 척박한 돌 틈에서 뿌리내려 곧은 꽃대의 맑고 그윽한 향으로 주변을 가득 채운다. 국화는 서리 친 가을에 홀로 피어 추운 겨울을 견뎌내며, 대는 마음을 비우듯 속이 비었으되 단단하고 꼿꼿하게 자라 불굴을 상징한다. 이들 매난국죽(梅蘭菊竹)을 일찍이 군자의 표상으로 칭송하는 이유다. 그중에서도 국화는 서리 치는 늦가을, 다른 꽃들이 다 시들어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