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내증시최신순인기순

  • 투자 목적 유상증자 줄인 대기업…운용자금 조달 바쁜 중소기업
    투자 목적 유상증자 줄인 대기업…운용자금 조달 바쁜 중소기업
    국내증시 2025.02.05 06:00:00
    지난해 시설투자 등을 위한 대기업 유상증자가 크게 줄어든 반면 운용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중소기업 유상증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환 목적의 일반 회사채 및 금융채 발행도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유상증자는 4조 7034억 원으로 2023년 7조 2572억 원 대비 35.2%(2조 5538억 원) 감소했다. 운용자금 조달 등 중소기업 유상증자는 2조 6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3% 늘었으나 시설투자 등 대기업 유상증자는 2조 6375억 원
  • 모건스탠리 "딥시크 등장에도 전력설비株 수혜 계속될 것"
    모건스탠리 "딥시크 등장에도 전력설비株 수혜 계속될 것"
    국내증시 2025.02.04 17:55:17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에도 미국의 전력 설비에 대한 투자가 계속해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4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최근 ‘딥시크: 미국 전력 인프라 산업에 대한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등장하면서 AI 학습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감소 우려로 최근 AI 인프라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다”면서 “그럼에도 미국의 AI 인프라 투자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AI 컴퓨팅 모델은 크게 추론과 학습 과정으로 나뉘는데 데이터 처리 비용이
  • 팰런티어, 호실적에 급등…‘AI 대장주’ 노린다
    팰런티어, 호실적에 급등…‘AI 대장주’ 노린다
    국내증시 2025.02.04 17:52:36
    미국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기업 팰런티어테크놀로지스가 지난해 4분기 호실적을 기록하자 주가도 호응했다.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에 미국 증시가 부진했음에도 정규장에서 1% 이상 오른 데 이어 시간외거래에서도 20% 넘게 급등했다. 3일(현지 시간) 팰런티어는 전 거래일 대비 1.52% 오른 83.74달러에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여진으로 나스닥종합지수가 약세를 나타냈지만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장 마감 후 팰런티어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 [투자의 창]‘트럼프 시대’ 연준의 통화정책
    [투자의 창]‘트럼프 시대’ 연준의 통화정책
    국내증시 2025.02.04 17:39:5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기점으로 금리 인하를 중단하고 당분간 휴지기에 돌입할 것임을 시사했다. 지난 회의에서 정책금리 25bp(1bp=0.01%) 추가 인하하며 100bp 금리 조정을 일단락한 가운데 올 연간 금리 인하 폭은 기존 4회(100bp)에서 2회(50bp)로 상당 폭 축소됐다. 분기 말 발표되는 경제전망(SEP) 측면에서 가장 큰 변화는 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의 상향 조정이었다. 직관적으로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더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올해 말까지 인플레이션
  • ‘500억 허들’에…흔들리는 공모펀드 직상장
    ‘500억 허들’에…흔들리는 공모펀드 직상장
    국내증시 2025.02.04 17:38:46
    올해 상반기 공모펀드 직상장 시행을 앞두고 당국이 펀드 설정액 500억 원 이상의 우량 상품만 허용을 추진하면서 중소형 운용사들이 대거 이탈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공모펀드 직상장에 필수인 유동성공급자(LP) 역할을 할 증권사도 아직 3곳에 불과해 ‘높은 허들’로 인해 반쪽짜리 정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4일 금융투자업계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국내 전체 펀드 4504개 가운데 설정액 500억 원이 넘는 우량 펀드 비중은 20.8%(938개)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상품성이 검증된 우량 공모펀드를 중
  • ‘타이어코드가 효자’…HS효성첨단소재, 지난해 영업이익 2179억
    ‘타이어코드가 효자’…HS효성첨단소재, 지난해 영업이익 2179억
    국내증시 2025.02.04 17:28:55
    HS효성첨단소재(298050)가 석유화학 업계의 불황 속에서도 타이어보강재인 타이어코드 판매량이 증가하며 지난해 2197억 원의 영업이익을 벌어들였다. HS효성첨단소재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 3112억 원, 영업이익 2197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26.2% 증가했다. 이는 HS효성첨단소재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타이어코드의 판매가격이 회복한 데다 판매량이 호조세를 보인 영향이다. HS효성첨단소재 관계자는 “타이어보강재 부문 판매량 증가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업
  • 새해 공모주 '7전 6패'…길어지는 IPO 침체 [시그널]
    새해 공모주 '7전 6패'…길어지는 IPO 침체 [시그널]
    국내증시 2025.02.04 17:25:00
    새해 국내 증시에 입성한 새내기주 7종목 중 6종목의 상장일 주가가 공모가를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보험 서비스 플랫폼 기업 아이지넷(462980)은 코스닥 상장일인 이날 공모가(7000원) 대비 37.79% 떨어진 4355원에 장을 마감했다. 주가는 시초가(6110원)부터 공모가를 하회했고 장중 한번도 회복하지 못했다. 아이지넷과 함께 코스닥에 상장한 인공지능(AI)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기업 피아이이(452450) 역시 공모가(5000원)보다 12.7% 내린 4365원에 거래를 마쳤다. 통상 연초에는
  • 한신평도 고려아연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으로 평가…"강등 가능성 커"
    한신평도 고려아연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으로 평가…"강등 가능성 커"
    국내증시 2025.02.04 17:20:21
    한국신용평가가 고려아연(010130)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 직전 단계인 ‘AA+’로 신규 제시했다. 다만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을 부여하며 향후 신용등급이 강등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4일 한신평은 보고서를 통해 고려아연이 지난해 10월 경영권 분쟁 관련 자기주식 공개 매수로 재무부담이 크게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김규완 한신평 연구원은 “2021년 이후 운전자금(원자재 구매·생산·판매 등 기업 운영과 관련된 자금) 증가와 신사업 관련 지분 투자, 배당금 지급 확대 등으로 자금 소요가 증가
  • 코오롱인더, 지난해 영업이익 1645억…전년比 17.6%↓
    코오롱인더, 지난해 영업이익 1645억…전년比 17.6%↓
    국내증시 2025.02.04 16:33:25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가 지난해 1645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4조 8348억 원, 영업이익 1645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1%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은 17.6% 줄어들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화학 부문이 호조세를 보여 매출이 소폭 증가했지만 아라미드 정기보수 등의 영향에 영업이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올해는 아라미드 펄프 증설과 신규용도 확대 등 제품 라인업 다각화와 함께 패션부문의 기존
  • 한신평 "딥시크 사태로 중저가 AI 칩 투자 기조 확대될수도…메모리 업계 대응 필요"
    한신평 "딥시크 사태로 중저가 AI 칩 투자 기조 확대될수도…메모리 업계 대응 필요"
    국내증시 2025.02.04 15:29:30
    한국신용평가가 최근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주가 급락을 야기한 ‘딥시크(DeepSeek) 쇼크' 여파가 단기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인공지능(AI)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이 약해질 경우 국내 메모리 업체도 함께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신평은 4일 ‘메모리 반도체 산업 2024년 4분기 및 연간 잠정실적 분석’ 보고서에서 딥시크 이슈가 국내 메모리 업체 단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 구글 등 미국 거대 기술 기업(빅테크)들이 잇달아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AI
  • 금호석유화학, 지난해 영업이익 2728억…전년比 24%↓
    금호석유화학, 지난해 영업이익 2728억…전년比 24%↓
    국내증시 2025.02.04 15:11:34
    금호석유(011780)화학이 지난해 2728억 원의 영업이익을 벌어들였다. 다만 4분기 영업이익 규모는 100억 원에도 못 미치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해 매출 7조 1550억 원, 영업이익 2728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3.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4.0% 줄어들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금호석유화학은 4분기 영업이익 99억 6000만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1.7%나 줄어든 규모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석유화학 시황 악화로 판
  • KCGI 코리아펀드, 지난해 벤치마크 초과 수익률 1위
    KCGI 코리아펀드, 지난해 벤치마크 초과 수익률 1위
    국내증시 2025.02.04 14:40:57
    KCGI 자산운용이 자사 상품인 ‘KCGI 코리아펀드’가 지난해 국내 증시 부진에도 한 해 동안 벤치마크(기초 지수)를 한참 웃도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4일 KG제로인에 따르면 KCGI 코리아펀드의 지난해 한 해 동안 12.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기초 지수 상승률을 23.5%포인트 상회하는 수치로 지난해 한 해 동안 설정액 100억 원 이상 국내 주식형 펀드 254개가 기록한 초과 수익률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수익률과 함께 안정성 부문에서도 선방했다. KCGI 코리아펀드의 표준편차는 연 14.5%로 기초 지수로 삼고
  • 지난해 해외주식 증여 2.8조…전년比 7배 급증
    지난해 해외주식 증여 2.8조…전년比 7배 급증
    국내증시 2025.02.04 11:33:31
    미래에셋증권(006800)은 지난해 해외주식 증여 등을 통해 이체한 금액이 2조 8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7배 이상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해외주식 증여 고객 수는 약 1만 7000명으로 직전 연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 주요 증여 해외주식으로는 엔비디아 5900명(8000억 원), 테슬라 5200명(4700억 원), 애플 2400명(830억 원), 마이크로소프트(MS) 2000명(940억 원), 아마존 1400명(102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주식 증여가 증가한 주요 배경으로는 글로벌 자산 성장 가능성과 절세
  • [주식 초고수는 지금] '리들샷' 실적 기대감…브이티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리들샷' 실적 기대감…브이티 순매수 1위
    국내증시 2025.02.04 11:29:58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4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코스닥 상장사 브이티(018290)로 나타났다. 삼성중공업(010140), 아톤(1584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도 순매수 상위권에 올랐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브이티다. 브이티는 1986년 설립된 화장품 기업으로 2023년 다이소 화장품 ‘품절템’으로 유명한 리들샷을 출시하면서 외형이 급
  • '어닝서프' LIG넥스원 9% 급등…이재명도 "K방산 적극 지원" [특징주]
    '어닝서프' LIG넥스원 9% 급등…이재명도 "K방산 적극 지원" [특징주]
    국내증시 2025.02.04 10:58:16
    ‘어닝 서프라이즈(시장 전망치를 훨씬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한 LIG넥스원(079550)을 비롯한 국내 방산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세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0분 LIG넥스원 주식은 전 거래일 대비 9.21% 오른 24만 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 중 25만 50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LIG넥스원은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액 1조 1687억 원, 영업이익 62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시장 전망치를 35%, 19%를 웃돌았다. 증권가에서는 LIG넥스원에 대해 수주잔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