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공모펀드에 성과 보수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을 전격 추진한다. 코스피지수가 3,000포인트를 돌파한 후에도 연일 급등하며 증시가 활황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직접 투자로만 자금이 몰리면서 부진의 늪에 빠진 공모펀드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지난 2008년 말 69조 원에 달했던 개인의 주식형 공모펀드 잔액은 2019년 말 18조 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해에도 개인은 증시에서 63조 원을 순매수했지만, 주식형 공모펀드는 3조 6,000억 원을 순매도했고 새해 들어서도 주식형 공모펀드에서는 벌써 5,000억 원 이상이 빠져나갔다.
마비되는 간접투자시장…특단의 조치로 성과주의 도입 |
11일 금융 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융 당국은 성과 보수 체계 확대를 골자로 한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판매사와 운용사에 성과 보수 수수료 체계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운용사에는 기존 성과 보수 방식 확대를, 증권사나 은행 등 판매사에는 새로운 성과 보수 적용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이 공모펀드 시장에 성과 보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은 바로 장기 부진에 빠진 펀드 시장으로 자금을 끌어올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개인 투자자의 장기 안정적인 자산 증식을 위해서는 공모펀드 수익률을 높여 직접투자보다 매력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과 궤를 같이한다.
금융 투자 업계는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이 오랜 기간 미뤄진데다 최근 펀드 수익률이 급격히 개선돼 성과 보수 방식을 도입할 적기를 맞았다는 점에서 이르면 이달 안에 금융 당국이 관련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했다. 성과 보수 방식은 투자 상품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수익을 낼 경우 운용사 또는 판매사가 정해진 비율의 성과 보수를 받고, 정해진 수준에 못 미치거나 손실을 본 경우 수수료를 물지 않거나 최소한의 수수료만 내는 방식이다. 운용 또는 판매 주체가 사후 관리 책임을 지게 돼 수익률 제고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미국 등 금융 선진국에서는 이미 활성화돼 있다.
"펀드 성과주의 도입되면 수익률 높아질 것"…은행 등 판매사도 적용 검토 |
이런 상황에서 업계는 기존 펀드 전반에 성과 보수 방식을 적용한 새로운 클래스의 출시를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펀드 직판 채널을 성과보수형 펀드의 유통 채널로 활성화하는 방안도 함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공모펀드 부진에도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된 펀드의 잔액은 지난해에만 4조 원 가까이 늘었다. 금융 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온라인 채널 확보는 성과보수형 펀드 확대의 전제 조건”이라며 “당국은 온라인 펀드 직판과 성과보수형 펀드 간 시너지를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판매 후 수익률엔 무관심한 업계 행태 바뀔까 촉각 |
특히 은행이나 증권사 등 펀드 판매사에 성과 보수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국내 펀드 판매사들이 판매보수율이 높거나 판매사의 계열사 펀드 중심으로 판매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들 펀드의 성과가 다른 펀드에 비해 더 부진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사모펀드 사태에서도 사후 관리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 판매사의 선취 수수료 중심의 판매 구조가 문제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연구실장은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선취 수수료 중심인 판매사 보수 체계를 성과연동형으로 바꾸고, 판매사의 핵심성과지표(KPI) 역시 개선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다만 판매 체계 개편의 경우 현행 자본시장법이 판매사의 성과 수수료 및 성과 보수를 금지하고 있어 법 개정 등이 필요한데다 기존 방식에 익숙한 판매사들의 반발과 성과 보수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투자자들의 보호 대책 마련이 추가 과제 등으로 남아 있어 당국의 고심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투자 업계에서는 정부의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담길지 ‘기대 반 우려 반’으로 바라보고 있다. 운용 업계의 한 관계자는 “판매사 성과보수 체계가 도입되면 ‘판매사들이 팔고 나면 그만’ 식의 행태가 사라지고 운용사들도 판매사 구하기보다는 펀드 수익률 제고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다. 다만 실제 수익률 제고가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황세운 상명대 DnA랩 객원연구위원은 “성과 보수라는 방향성은 맞지만 다른 제약이 많은 공모펀드가 얼마나 수익률을 높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록기자 saro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