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불운의 우주인 고산 창업전도사로 거듭나다


불운의 우주인 고산. 러시아 유리 가가린 센터에서 1년간 우주인 훈련을 받다가 1개월을 남기고 한국 최초의 우주인 자리를 이소연에게 내줘야 했던 그가 올 2월 벤처 창업 컨설팅 회사 타이드인스티튜트를 차렸다. 포춘코리아가 그를 직접 만나 갑작스런 변신의 이유를 들어봤다.
한정연 기자 jayhan@hmgp.co.kr
photograph by Lee Jong Chul

성북구 평창동
골목에서 한 손에는 커피가 든 텀블러 를 들고 다른 한 손은 주 머니에 찔러 넣고 내려오 는 고산(35)을 만났다. 그 런 그의 당당한 제스처는 사진촬영을 할 때도 계속 됐다. 상당히 높은 곳 에서 뛰어내리는 포즈를 자처하더니 몇 차례고 다시 뛰었다. 이마에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혀도 고산은 뛰고 또 뛰었다. 기자가 말릴 때까지 십 여 차례 같은 동작을 반복했다. 1m가 넘는 축대 였으니 발목이 시큰거릴 법도 한데, 얼굴에 가득 한 웃음은 사라지지 않았다.

인터뷰를 하기 위해 미술관 안에 있는 카페 에 자리를 잡았을 때도 그는 햇빛을 마주보고 앉았다. 햇빛을 좋아한다고 했다. 그리고 아주 잠깐 그의 얼굴이 어두워졌다. “언젠가는 우주 에 갈 것”이라고 말할 때였다. 대한민국 과학기 술 정책을 만들고 싶다는 건강한 청년 고산. 그 는 왜 창업 전도사로 나선 것일까? 그와의 대화 가 이어졌다.

> 타이드인스티튜트는 어떤 회사인가?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타이드는 창업의 판을 벌 이는 곳이다. 창업자가 한 발짝 내딛기 쉽게 하 는 플랫폼을 만들어 벤처캐피털이나 인큐베이 터 업체 그리고 창업자가 한데 모이게 하고 싶 었다. 일반 기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 에 판을 자체적으로 크게 벌이지 못한다. 비슷 한 단체가 미국에 있긴 하지만, 그런 단체는 자 체적인 투자를 하는 곳이다. 타이드는 기존에 없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 수익성이 없으니까 지금껏 아무도 안 한 것 아닌가? 운영비는 어떻게 마련하나?

창업경진대회 등 정부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구현할 때 얼마나 잘 되느 냐가 문제다. 우리 프로그램은 참가비를 받지 않는다.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이 행사를 주최하 면 우리가 운영을 맡아서 하는 식이다. 지난 7 월에는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10년째 해온 영제네레이션포럼을 우리가 운영했다. 해외에 있는 한인 1.5세나 2세 이공계 학생들과 한국 학생들을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행사가 잘 돼서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연락이 왔다.

> 기업가는 결국 수익창출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기업가 정신을 북돋우려는 단체 가 수익을 못 내고 돈이 없다면 문제 아닌가?

지금은 그렇지만 앞으론 우리를 통해서 창업에 성공한 기업으로부터 상징적으로 지분의 1%를 기부받는다든지 하는 식으로 기금을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자체적으로 도 펀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가자는 어떻게 모집할 것인가?

미국 싱귤래리티 대학 모델을 먼저 설명하겠다. 먼저 각 분야 교수나 창업자 등 전문가들을 모 두 불러서 트렌드에 대해 강의를 한다. 그리고 실리콘밸리에 직접 찾아가 실제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을 만난다. 그리고 마지막 3주 동안은 참 가자들이 창업 아이템을 만들어서 벤처캐피털 앞에서 발표를 한다. 올겨울 연세대에서 이와 똑같은 프로그램을 계절학기 때 열기로 했다.

> 왜 하버드 대학을 휴학하면서까지 타이드 를 만들었나?

과학기술 정책을 공부하고 싶어 하버드 대학 케 네디 스쿨에 갔다. 과학기술 정책에선 인재 정책 이 무척 중요하다. 학생들이 이공계에 많이 안 오기 때문이다. 창업이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리 고 답답해 하는 우리 젊은이들에게 실리콘밸리 의 활발한 분위기를 전해주고 싶었다.

> 10월에 미국에서 ‘제1회 미주 한인 기업 가정신(Entrepreneurship) 대회’를 연 다. 어떤 대회인가?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은 크게 보면 미국 싱귤래 리티 대학의 창업 프로그램과 같은 것이다. 그 런데 진행을 하다 보니 똑똑한 친구들은 다 외 국에 나가 있었다. 이들을 흡수하고 싶었다. 나 가면 안 들어오려 하니까 국가적으론 두뇌 유 출 아닌가. 이들은 국제적인 창업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다시 품어서 데리고 오려 한다. 그 첫걸음이 이번 대회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베이 에어리어 Bay Area 코리안 그룹이라는 한국인 엔지니어들의 모임이 많은 도움을 줬다. 타이드와 희망제작소가 함께 주최한다. 사회적 기업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도 늘고 있는데, 희망 제작소가 그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비 용은 투자를 받아서 해결했다. 한국전자인증, 스마일게이트, 한국연구재단, 한국청년기업가정 신재단 등이 참여했다. 앞으로 중국과 유럽 등 으로 판을 키울 생각이다.

> 고산 씨는 대기업 출신이다. 삼성 연구원 생 활은 어땠나?

2005년 입사해 인공지능을 연구했다. 연구를 계속하고 싶었지만 충분하게 자유롭진 못했 다. 10년 이상을 바라보고 연구를 하는 곳임에 도 윗사람들은 성과를 내는 데 조급해했다. 당 시 3D 콘텐츠에 집중해보자고 제안했지만, 3D TV가 언제 나올지 모르는데 왜 그런 것에 집 착하느냐고 핀잔만 들었다. 삼성이 앞으로 더 발전하려면 연구 환경이 더 자유로워져야 한 다. 연구원들의 상상력을 더 풀어놔 줘야 한다. 연구자들의 천국을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성과가 나오는 것은 사 업부에서 하면 된다. 삼성종합기술원 같은 곳 에선 뜬금없는 황당한 이야기라도 미래를 보 고 했으면 좋겠다.

> 대기업과는 앞으로 행사를 같이 하지 않을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대기업에서도 창의력을 요구한 다. 중소기업과의 상생 노력도 한다고 하지 않는 가? 대기업이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데 일익을 담당해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이젠 이런 프로 젝트를 제안할 때가 됐다고 본다. 지금 나이도 적지는 않지만, 한 분야 전문가 로 보긴 어렵다. 게다가 지금은 학생이다. 이런 판을 벌이기에는 이른 것 아닌가?

맞다. 내가 멘토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내가 엮어줄 수는 있다. 나는 판을 벌이기에 적합한 사람인 것 같다. 내가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는 점이나 내 성향을 봐도 그렇다. 무엇보 다 나는 이런 일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다.

> 러시아 생활을 통해 국가에 대한 사명감을 느끼게 됐다고 했다. 러시아 생활이 어땠기에 이렇게 사람을 바꿔놓은 것인가?

나는 한국과 러시아가 닿는 접점에 있었다. 스 스로 나는 ‘한국 대표’라고 나 자신을 규정했다. 행동을 할 때도 매사가 조심스러웠다. 경쟁을 해 도 소연(우주인 이소연 씨)이랑 하는 게 아니라 그곳 러시아 사람들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러 시아어를 할 필요가 없었지만 교관이 물어보면 대답을 러시아어로 했던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 러시아의 기술력은 굉장히 앞서 있었다. 러시아 생활은 어땠나?

유리 가가린 우주훈련센터에서 생활했다. 이 센 터는 군부대 안에 있었다. 한국인은 사무를 봐 주는 사람과 이소연 씨를 포함해 셋이었다. 시 간이 정말 없었다. 몇 달 동안은 밖에 나가보지 도 못했다. 주말에는 러시아어 단어를 외우고 시험공부를 했다. 나 스스로가 그렇게 하고 싶 었다. 한국 사람 모두가 이 정도는 된다는 걸 보 여주고 싶었다. 그때 친해진 러시아 사람들과 지 금까지 이메일을 교환한다. 그곳에서 나와 같이 사업하자는 친구도 있다.

> 우주인이 못된 상처는 아물었나?

상처가 별로 심하지 않았다. 잠깐 실수로 그렇 게 된 게 아니었다. 물론 고민은 많았다. 내 신 념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라면 우주에 안 가도 그만이라고 생각했다. 다만 주변의 걱정이 부담 이었다. 주변에서 몇 천 명이나 괜찮냐고 물어오 면 내가 진짜 괜찮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 는 시간이 흐른 후에도 내 생각이 옳았다고 판 단한다. 자기 신념만 있다면, 모두가 아니라고 주장해도 끌고 나가보는 게 좋다. (고산 씨는 우 주선 발사 1개월 전에 훈련 교본을 외부로 가지 고 나간 점이 문제가 되어 예비 우주인이었던 이소연 씨와 교체됐다.)

> 창업을 북돋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한 후 도 전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러시아에서의 경험이 여기에 작용했나?

(우주인 교체 후) 마지막 1개월은 다시 한번 지 난 11개월간 벌어졌던 일과 사건을 정리하는 기 간이었다. 내가 잘 한 건가, 내가 정말 믿음이 있 어서 그렇게 한 걸까 등 많은 생각을 했다. 당시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라 불렸던 타이틀에 걸맞 은 역할을 해줘야 했다. 지금은 내가 나 스스로 를 많이 찾은 것 같다. 만약 우주인이 됐었다면 지금과 같은 일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주는 언젠가 갈 것이다. 미국에선 2억 원 가량만 내면 우주에 갈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만든 우주선을 타고 가서 내려다 본 지구와 그냥 돈 내고 가서 구경하는 지구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내 머릿속에서 우주인은 꽃 같은 존재였다. 과학자들이 다 쌓아놓은 기술 위에 마지막으로 올라타는 꽃과 같았다. 식물이 성장하려면 줄기 와 뿌리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은 꽃만 있는 상 황이다. 누군가 진짜 꽃이 되면 그게 꼭 내가 아 니더라도 굉장히 감동적일 것이다.

> 꽃과 줄기, 뿌리에 대한 얘기는 창업 과정에 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이 일을 하고 싶다. 뿌리도 식물의 일부 다. 어찌 보면 뿌리가 더 주인공일 수 있다. 우주 인은 단순한 기계부품 같은 존재다. 매뉴얼대로 하나하나 버튼 누르는 연습만 반복적으로 한다. 상징적이면서도 위험을 감수하는 존재다. 우리 가 만든 기술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좋지만, 다른 사람들이 만든 기술의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는 않다.

> 10년 후에는 무엇을 하고 있을 것 같나?

이 사업을 5년 이내에 정착시키고 다시 복학해 서 공부를 마치고 싶다. 내가 다니는 학교는 5년 까지 휴학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금껏 내가 살 아온 길은 한 걸음만 내디뎌도 거기서부터 완전 히 다른 세상이 펼쳐지고 새로운 선택지가 주어 졌던 것 같다. 5년 뒤에 내 바람대로 될 지는 잘 모르겠다. 그래도 전체적인 방향은 있다. 나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에 기여하고 싶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