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NEA: 벤처 캐피털계의 숨은 실력자

NEA: THE VC WORLD'S BEST-KEPT SECRET

뉴 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츠 New Enterprise Associates의 직원 중에는 저명인사가 없다. 회사는 눈에 띄는 것보단 결과로 말하고 있다.
By Dan Primack

일러스트레이션 by Kilian Eng
번역 홍철진 indier99@gmail.com


"이 회사에는 스타 문화가 전혀 없다. 이 직업에 대해 언제나 기업가는 예술가였고 우리는 무대 뒤에 있었다고 생각했다" -NEA 파트너 패트릭 청

세계최대 벤처캐피털을 생각나는 대로 말해보라. 만일 뉴 엔터프라이즈 어소시에이츠(NEA)가 떠오르지 않아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기 때문이다. 8개 지사에 100명이 넘는 직원, 그루폰 Groupon, 다이어퍼스 닷컴 Diapers.com 같은 유명회사에 대한 투자나 매우 뛰어난 실적에도 불구하고 NEA는 주목받기를 지극히 꺼린다. 그것도 의도적으로 피한다. NEA의 파트너인 패트릭 청 Patrick Chung은 "이 회사엔 스타 문화가 없다"고 말한다.

우선 NEA는 벤처와는 거리가 먼 메릴랜드 주 체비 체이스 Chevy Chase에 본사를 두고 있다. 벤처 캐피털 클라이너 퍼킨스(KPCB)가 앨 고어를 영입한 것처럼 유명인 파트너를 고용하지도 않는다. NEA의 파트너 25명 중에 개인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고, 트위터 계정을 갖고 있는 사람도 고작 4명이다. 그나마 7월 이후 한 번이라도 트위팅을 했던 사람은 단 한 사람뿐이다. 회사가 어떤 정보를 갖고 있는가보다는 누가 당신 회사를 알고 있는가가 더 중요할 정도로 관심 추구병에 걸려 있는 오늘날 벤처투자업계의 경향과 정반대에 서 있다.

실리콘 밸리에 근무하는 청은 이 업계에 대해 "언제나 기업가는 예술가에 가까웠다"며 "우리는 무대 뒤에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한다. "예술가는 비전과 재능은 있지만 성격 면에서 약간 괴팍하고 비이성적인 사람들이다. 이들이 성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일이다."

창업 이후 지난 33년간 NEA는 이 일을 꽤 잘 해냈다. NEA는 논란이 되었던 그루폰 이외에도 3Com, TiVo, 알케미스 Alkermes, 웹MD, 퓨전-아이오 Fusion-io와 피스커 Fisker에도 투자하고 있다. 회장인 딕 크램리치 Dick Kramlich는 NEA를 설립하기 전에는 아직 신생 벤처기업이었던 애플의 초기 투자자 중 한 명이었다.

"겉으로 보면 지수 펀드 같다. 하지만 투자 수익의 면면을 살펴보면 그보다 훨씬 더 낫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EA 투자자 애봇 캐피털의 사장 조나단 로스

NEA는 포트폴리오에 총 285개 기업의 지분을 갖고 있고 투자액은 적게는 100만 달러에서 최고 5,000만 달러에 달한다. 지금까지 총 13개의 펀드를 운용했으며, 이 중 8개는 1994년 이후 개설되었다. 리서치 회사 프리킨 Preqin에 따르면 8개의 펀드 중에 6개가 내부이익률 기준으로 벤처 캐피털 상위 25%에 드는 성과를 거뒀다(2009년 펀드는 아직 평가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오랫동안 NEA에 투자하고 있는 애봇 캐피털 Abbott Capital의 사장 조나단 로스 Jonathan Roth는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펀드 하나로 수많은 형태의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면 지수펀드 같다. 하지만 투자수익의 면면을 살펴보면 그보다 훨씬 더 낫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EA의 모든 투자결정은 동일한 과정을 거치는데, 특정 산업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진 직원들로 이뤄진 소규모 팀들이 이 일을 맡는다. 이 그룹이 투자를 원하는 경우 NEA 파트너 전원에게 보고되고, 이들은 매주 월요일에 창 하나 없는 회의실에 모인다. 그리고 격론 끝에 두 차례에 걸쳐 표결에 부친다. 첫 번째 표결에는 해당 산업분야의 전문가 파트너들만 참여해 YE(적극 찬성 yes enthusiastic), YS(다소 찬성 yes with reservations) 또는 NO(반대)에 투표한다. 새로운 투자계약에 대해 다수가 적극 찬성 또는 다소 찬성에 표를 던지거나 후속투자에 대해 압도적인 다수가 지지한 경우, 투자안은 회사 최고위 파트너 18명의 최종 표결에 부쳐진다.

2008년 그루폰의 모태가 된 시카고의 작은 신생 기업에 대한 NEA의 투자결정도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나왔다. 이 기업은 1999년부터 NEA를 이끈 현 업무집행사원 피터 배리스 Peter Barris가 극찬한 회사로, 당시 상호는 더 포인트 The Point였고 집단행동이라는 분야를 주 사업으로 한다는 다소 모호한 계획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어 통신회사 소비자들이 추가요금이 부당하다고 항의하고자 할 때 온라인상에서 집단압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었다.

NEA를 찾아오기 전에 더 포인트는 이미 벤처투자 회사 두 곳으로부터 구체적인 수익창출 전략도 없이 너무 높은 평가금액을 요구한다는 이유로 투자를 거절당했다. 배리스는 "그날 협상에 임한 사람들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 일부는 집단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 위험부담을 감수한다고 해도 어디서 수익을 낼 것이냐에 대해 의문이 끊이질 않았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그래도 배리스는 투자하자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집단행동은 강력한 아이디어였고, 더 포인트의 설립자가 이너워킹 InnerWorkings이라는 인쇄기술회사로 NEA에 수익을 안겨준 전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표결에서 배리스의 파트너들은 모두 적극 찬성표를 던졌다. 다음날 NEA는 사업의 틀을 갖추는 데 필요한 480만 달러짜리 수표를 써줬다. 배리스는 "우리는 다양한 실험적 사업을 지원했고 거기에는 한 빌딩에 근무하는 사람들을 가입시켜 건물 1층의 햄버거 가게에서 할인을 받게 해주는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모델이 인기를 끌자 나는 이들을 다그치기 시작했고, (CEO) 앤드류 메이슨 Andrew Mason에게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라고 밀어붙였다. 한 달에 4개 도시꼴로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고 그들은 실제로 그렇게 했다. 나중에는 한 달에 10개 도시로 확대했다."

그루폰은 지난 6월 상장심사를 신청한 이후 과욕을 부린 회계방법을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지난 화요일 기준으로 신규 상장을 통해 7억 달러의 자금을 확보했고, 첫날 거래 결과 시가총액이 약 170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NEA에게 어마어마한 수익을 의미한다. NEA는 불과 1,480만 달러로 지분 14.6%를 확보했고 배당과 장외 거래를 통해 이미 7,500만 달러의 수익을 냈다.

NEA의 성공 요인으로는 고유의 의사결정과정뿐만 아니라 투자금을 대규모로 유지하겠다는 의지와 특정 업종이나 사업단계에 구애받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꼽을 수 있다. 벤치마크 캐피털 Benchmark Capital이나 세쿼이아 캐피털 Squoia Capital 같은 경쟁사가 2000년대 초 펀드규모를 줄일 때에도 NEA는 규모를 유지했다. NEA는 인터넷 버블 붕괴 이후 단일 펀드로는 유일하게 20억 달러를 넘은 회사이고, 이 같은 성과를 2006년과 2009년 두 번이나 달성했다. 벤처펀드 평균 모집규모는 2009년에 1억500만 달러였다.

의료업종 전문투자회사들이 고비용의 의약품개발 투자에서 발을 빼기 시작할 때에도 NEA는 계속해서 임상연구소들을 찾아 나섰다. NEA의 파트너인 데이비드 모트 David Mott는 "투자의 규모가 중요한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지금 업계에는 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대규모 투자를 유지할 수 있는 업체가 많지 않다"고 말한다.

NEA는 거시 경향의 변화에 따라 모든 사업단계, 지역, 업종을 오가며 투자를 집중할 수 있는 펀드도 별도로 운용하고 있다. 많은 경쟁 펀드회사들이 다수의 소규모 펀드를 모집하는 이 시기에도 이런 방식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액셀 파트너 Accel Partners는 현재 얼리-스테이지 펀드, 성장 펀드, 중국 펀드, 인도 펀드, 유럽 펀드를 운용 중이다. NEA의 IR담당 파트너인 수전 킹 Suzanne King은 펀드의 유연성이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2006년 NEA 12호를 처음 모집할 때, 에너지 회사의 평가액이 고공행진을 했기 때문에 결국에는 실제 투자한 것보다도 더 많은 자금을 에너지 회사에 투자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만일 5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에너지 분야에 국한해 모집했다면 그 돈을 제대로 투자하지 못했거나 내키지 않는 기업과 협상해야만 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