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히드 마틴/ 카만항공 K-맥스]
무인 자율비행 화물 헬리콥터
항속거리: 396.3㎞ (만재 탑재)
최고시속: 148.2㎞ (만재 탑재)
화물적재량: 최대 2,722㎏
운용고도: 최대 457m
2008년 이래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사망자의 50% 이상은 도로에 설치된 급조폭발물(IED)의 희생자다. 군수물자의 차량 호송은 그만큼 큰 위험이 따른다. 이 점에서 무인 자율비행 헬리콥터 'K-맥스(K-MAX)'는 군인의 생명을 지켜줄 수호천사가 아닐 수 없다. 2,722㎏의 화물을 23m 길이의 줄에 연결한 채 최대 시속 148㎞로 396㎞를 수송할 수 있는데 일반 UAV와 달리 일일이 인간이 조종할 필요도 없다. 원격지의 조종사가 스타트 버튼만 누르면 K-맥스 스스로 자율비행을 시작한다. 내장된 고도·항법센서를 활용, 사전 설정된 경로를 따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날아가는 것. 작년 12월 아프가니스탄에 실전 배치된 2대의 K-맥스는 지금껏 910톤 이상의 화물수송 임무를 성공리에 완수했다. lockheedmartin.com
[레드불 스트라토스 여압복]
성층권 자유낙하 슈트
대기권과 우주의 경계, 즉 고도 39㎞의 성층권에서 자유낙하를 하려면 도대체 뭘 입어야 할까. 이 같은 역사적 도전에 나선 미국 레드불 스트라토스팀의 펠릭스 바움가르트너는 4년 전 우주복 및 조종사용 여압복 제조사 데이비드 클락에게 슈트 제작을 의뢰했다. 전례 없는 고도의 내한성과 내열성, 공기역학성을 갖춘 여압식 점프 슈트가 이렇게 세상에 태어났다. 그리고 지난 10월 14일 바움가르트너는 TV와 유튜브로 수백만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 슈트를 입고 3만9,045m 상공에서의 점프에 성공했다. 당시 그의 자유낙하 최고 속도는 초음속을 넘어서는 마하 1.24를 기록했다. redbullstratos.com
여압 (pressurization) 우주, 외계행성 등 지구보다 기압이 낮은 곳에서 압력을 높여 지표면과 유사한 기압 상태를 구현하는 것.
[NASA 그레일 달 탐사선]
쌍둥이 달 지도 제작자
올 1월 1일 미 항공우주국(NASA) 그레일(GRAIL) 프로젝트의 달 궤도 탐사선 두 대가 달 궤도에 안착했다. 에브(Ebb)와 플로우(Flow)로 명명된 이 쌍둥이 탐사선은 편대비행을 하며 달의 중력장(gravitational field)을 초정밀 측정하게 된다. 이 데이터를 달 표면의 지형정보와 매칭시켜 분석하면 베일에 싸여있던 달 내부의 지질학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www.nasa.gov
[보잉 팬텀 아이] 친환경 수소 연료 무인 정찰기
올해 첫 시험 비행에 성공한 무인정찰기 '팬텀 아이'는 친환경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도 긴 체공시간 확보가 가능함을 입증했다. 이 무인기에는 액체수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150마력 2.3ℓ급 4실린더 내연기관 엔진 두 기가 탑재돼 있는데, 860㎏의 액체수소로 19.8㎞ 상공에서 최대 4일간 임무를 수행한다. 그 어떤 경쟁모델보다 최소 3배는 긴 체공 능력이다. 물론 유해물질도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boeing.com
[펜실베이니아대학 GRASP 랩 나노 쿼드로터 로봇] 자율비행 쿼드콥터
중량 75g의 이 소형 쿼드로터 로봇은 0.5초 내에 공중제비를 넘을 만큼 민첩하다. 또 3차원 편대비행이 가능하며, 상호 협동해 특정 공간의 지도 제작 및 수색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목적지만 알려주면 스스로 경로를 설정, 자율비행으로 날아간다. 이 로봇을 개발한 GRASP 랩의 학생들은 얼마전 크멜 로보틱스라는 회사를 창업, 상용화를 시작했다. kmelrobotics.com
쿼드로터(quadroter) 로터 4개. 즉 쿼드로터 로봇 혹은 쿼드콥터(quadcopter)는 4개의 로터를 채용한 헬리콥터형 비행체를 말한다.
[솔라자임 솔라제트] 조류(藻類) 제트 연료
'솔라제트(Solajet)'는 조류에서 추출한 최초의 항공기용 바이오 제트유다. 작년 11월 미국 UA항공은 유전자조작 조류를 이용한 이 연료와 일반 제트유를 4:6 비율로 혼합, 보잉 737기에 넣고 휴스턴에서 시카고까지 상용비행에 성공하기도 했다. UA항공이 2014년부터 연간 최대 7,570만ℓ의 솔라제트 구매를 결정한 만큼 항공업계의 바이오연료 활용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solazyme.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