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은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기간 2년인 드라마 '미생' 속 주인공 장그래보다 못한 처지에서 사회생활의 첫발을 내딛는 것이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처음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은 76만1,000명이었다.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에 달한다.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은 지난 2013년의 21.2%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하지만 2008년 11.2%에서 급격히 늘어나 2011년 20.2%를 기록한 이후 4년째 20%대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정규직이 단기 계약직으로 대체되는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청년층의 불안한 고용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계약 기간이 1년을 넘는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08년 6.4%에서 지난해 3.1%로 반토막이 났다.
계약 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일시적으로만 일할 수 있는 곳을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 비중은 34.8%에 이른다. 청년 취업자 3명 중 1명이 고용이 불안정한 곳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셈이다.
반면 계약 기간이 따로 없이 계속 근무 가능한 직장에 취업한 청년은 지난해 242만명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의 62.1%였다. 2013년의 60.5%보다 늘었지만 2008년 63.2%보다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김두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첫 일자리는 향후 사회활동의 기준점이 되는데다 업무능력 습득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며 "비정규직이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