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12일 교육 평등권 침해 논란을 빚고 있는 충남삼성고등학교와 관련해 안타깝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사장은 이날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사장단회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충남삼성고 논란에 대해 "안타까운 상황"이라며 "지역주민 자녀도 못 들어가 피해를 입고 있지만 우리 직원들 자녀도 절반이 못 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또 "우리 나름대로 학생 수요를 늘리려고 열심히 했는데 난처하다"며 "여러 면에서 해결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사장의 발언에 대해 삼성디스플레이의 한 관계자는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 충남삼성고를 설립했는데 일부에서 사실과 다른 불필요한 논란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충남삼성고를 둘러싼 논란은 삼성이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 총 1,000억원을 들여 자율형사립고를 지으면서 시작됐다. 충남삼성고가 위치한 천안·아산 지역에는 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사 직원 3만6,000명이 근무하고 있다. 특히 삼성 아산산업단지가 위치한 아산시 탕정면에는 지난해까지 특수목적고인 충남외고 외에 일반 고등학교가 없어 많은 직원이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거나 어린 자녀들을 원거리 통학시켜야 했다.
이에 삼성은 충남도교육청에 공립고등학교 설립을 요청했지만 교육청은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공립고등학교 대신 기업 출연의 자사고 설립을 제안했다. 이후 삼성이 직원복지 차원에서 충남삼성고를 설립하게 된 것이다.
문제는 올해 아산시 고교 배정과정에서 아산지역 학생 81명이 아산이 아닌 인근 천안의 학교로 배정돼 원거리 등교를 하게 되면서 불거졌다. 이에 이들 학생의 학부모들은 충남삼성고에 먼 지역에 사는 삼성 직원 자녀들이 다니면서 아산지역 학생들이 원거리 통학을 하게 됐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또 예비 고1·중3 학생 9명과 학부모 9명이 "대기업이 세운 자사고가 지역 고교를 서열화하고 가까운 학교를 놔두고 원거리 학교로 통학하는 학생이 생기는 등 헌법이 규정한 평등권과 균등하게 교육 받을 권리를 정면으로 침해했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삼성 측은 이번 논란이 사실과 다른 측면이 있다며 블로그 등을 통해 조목조목 해명했다.
우선 아산지역 일부 학생이 천안으로 원거리 등교를 하게 된 것은 충남삼성고 때문이 아니라 천안지역 학생들이 아산의 고등학교로 몰리면서 벌어진 일이라는 것이 삼성의 설명이다.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천안·아산에서는 학생들이 지역에 관계없이 원하는 학교에 지원할 수 있으며 천안지역 학생들이 통학여건이 좋은 아산지역 학교로 몰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설 학교인 아산 배방고의 경우 올해 입시에서 학교 정원 420명 중 36.6%인 155명이 천안지역 학생들로 채워졌다.
삼성은 또 충남삼성고가 전교생의 10%만 지역주민으로 뽑아 지역주민들의 교육 받을 권리를 침해했다는 주장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충남삼성고는 정원의 70%인 245명을 직원 자녀 중에서 선발하며 나머지 20%는 사회적배려대상자전형, 10%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일반전형을 통해 뽑는다.
이와 관련해 삼성 측은 올해 신입생 중 아산지역 중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전교생의 43.4%로 지역주민 자녀이며 삼성직원자녀전형도 2대1의 경쟁률을 기록해 직원 자녀의 절반은 이 학교에 진학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달 충남삼성고 인근 탕정중학교를 졸업한 삼성 직원 자녀 80여명도 차량으로 원거리 등교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아산에서 근무하는 삼성 직원들도 엄연히 아산 시민인데 삼성 직원 자녀와 아산지역 주민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삼성고 외에 포스코의 광양제철고·포항제철고, 현대중공업의 현대청운고 등 기업이 지역사업장 인근에 세운 자사고들도 별도의 직원자녀전형을 실시하고 있다. 포항제철고와 광양제철고의 경우 각각 전교생의 60%·70%를 직원 자녀 중에서 뽑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