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미국자산운영협회(ICI)에 따르면 올 1·4분기 국내 펀드 수는 1만286개로 대륙 별 주요국가 중 가장 많은 수준이었다. 금융 선진국인 미국과 영국의 경우 각각 7,796개와 1,909개의 펀드 수를 보였다. 독일은 2.032개, 프랑스가 7,132개의 상품이 있었고 일본과 중국은 각각 5,066개와 1,485개의 펀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심지어 글로벌 펀드등록의 중심지인 룩셈부르크(9,536개) 보다 국내 펀드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펀드 수는 전체 글로벌 펀드시장에서 13.3%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펀드 설정액은 미미했다. 국내 펀드 순자산 규모는 295조원으로 룩셈부르크 3,217조1,778억억원 대비 한참 못 미치며 일본(790조원)과 중국(538조원)보다 작았다. 한국의 경우 펀드 1개당 설정액은 287억원으로 룩셈부르크 3,374억원과 중국 3,617억원 대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펀드 수는 비정상적으로 많으면서 설정액은 작다는 것은 그만큼 중소형 펀드가 난립한다는 뜻으로 분산투자 등 효율적인 운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채권과 같이 표준 거래단위가 일정금액 이상인 투자대상 자산의 경우 소규모 펀드에서 편입할 수 있는 종목 수가 극히 제한적"이라며 "주식형 펀드의 경우 펀드에 편입할 수 있는 종목의 수가 많지 않아 분산투자 효과가 적을 뿐 아니라 종목당 투자규모도 작아 펀드매니저들의 잦은 매매로 인한 펀드 자산의 거래비용 상승으로 궁극적으로 펀드 수익률도 낮아진다"고 말했다.
여기에 펀드매니저당 담당하는 펀드 수가 많은 것도 수익률 저하를 이끄는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 일부에서는 소규모 펀드의 숫자가 일정 비율을 넘어설 경우 신규 펀드 설정을 제한하는 '소규모 펀드 총량비율제'와 같은 간접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소규모 펀드 양산으로 국내 자산운용업의 국제경쟁력은 물론 투자자로부터의 신뢰를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소규모 펀드 총량비율제와 같은 규제와 함께 자산운용사와 판매사 스스로 펀드 대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