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는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수년간 상승하고 비금융 공공기관의 부채도 2008년 이후 빠르게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의 생산가능 인구(15~64세) 비율은 꾸준히 감소해 2030년에는 60% 초반으로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은행부문 단기외채가 감소하고, 북한의 원활한 권력승계로 갑작스런 도발ㆍ붕괴 가능성이 작아진 점은 한국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들이 안정적인 대출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차입비용 증가 압력에도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높은 가계부채 수준, 경기둔화와 자산건전성 저하, 외화유동성 위험 등은 금융기관 신용등급의 부정적 평가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국 기업 신용등급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S&P는 “최근 1년간 한국기업의 등급 하향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하반기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등급 하향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철강 산업과 통신 산업을 어둡게 봤다. S&P는 철강산업에 대해 “국내외 수요가 둔화하고 동아시아 역내 공급과잉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산업에 대해선 “가입자당 평균 매출이 줄어든데다 통신비 인하 등 규제 리스크도 지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반면 자동차 산업, 하이테크 산업 등에 대해선 안정적으로 신용도를 유지할 것이라고 S&P는 예상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