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사진) 금융위원장이 29일 "공매도를 악용해 시장에 교란을 주는 행위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또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연기금 등의 카드를 이용하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6일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에서 열린 산행에서 기자들에게 "공매도로 인한 시장 교란을 금융 당국이 좌시하지 않겠다"며 "일정 규모 이상 공매도에 나서는 투자자들이 금융 당국에 보고하도록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빠른 시간 안에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위 관계자는 "3월 발표했던 공매도 대량 포지션 보고제도를 3ㆍ4분기 중에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공매도란 실제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투자자가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다른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빌린 뒤 이를 매도해 차익을 얻는 전략이다.
김 위원장은 "시행령 개정안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증권사가 공매도 상황을 파악하도록 할 것"이라며 "시장 감시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증시 안정을 위해 연기금을 동원할 수 있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필요할 경우 (연기금을) 사용하겠다"며 "증시 붕괴를 방치하지 않겠다는 게 확고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이 이처럼 공매도에 대한 강력 대응을 천명하고 나선 것은 최근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 가능성 등의 대외 악재를 공매도 세력이 악용하면서 증시를 뒤흔들고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전체 거래대금 가운데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육박하고 있다. 공매도 비중이 1~3%에 머물렀던 연초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특히 투자자 간 주식 대여로 공매도를 유발할 수 있는 대차거래 누적수량은 올 초 3억2,756만주에서 이달 24일 7억4,000만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대차거래 잔액도 14조9,479억원에서 35조2,872억원으로 136%나 급증했다.
공매도 세력이 삼성전자 등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종목에 집중돼 있는 점도 증시 교란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지난달 108억원에서 이달 2,804억원으로 3배 가까이 뛰었다.
한편 김 위원장은 "바꿔드림론과 같은 (서민금융상품의) 경우 (지원) 대상을 완화하도록 지시했다"며 "5월 말 이후에도 (불법사금융) 신고를 계속 받아 피해자를 구제해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