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과제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개인건강기록)기반 당뇨병 중심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제로서 다음달부터 2년간 정부로부터 14억8,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는다.
이번 과제 선정에는 인포피아 컨소시엄을 비롯해 총 6개의 컨소시엄이 경쟁에 참여, 인포피아의 컨소시엄이 과제 목표 및 기술개발 내용의 적합성,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체계와 방법의 적절성 및 해외 네트워크의 우수한 역량과 모든 참여기관을 총괄할 수 있는 수행능력 등이 높게 평가되어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 참여기관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자부품연구원, 보령AND메디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휘트닷라이프이다. 서울성모병원은 PHR에 대한 기획과 운영을 담당하게 되고, 나머지 참여기관들은 혈압계, 심전도계, 운동량측정계 등 관련 기기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측정기기 연동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게 된다.
인포피아는 이번 과제의 총괄 관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당뇨 측정기기 공급 및 PHR사이트와 연동작업을 진행하고, 해외에 만성질환 관리 PHR 및 기기를 공급하기 위한 컨설팅과 실무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인포피아는 이번 과제를 통해 PHR 개발과 기기연동이 완료되면 아시아 및 유럽 국가 중 1곳씩을 선정하여 시범 구축 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서울성모병원에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검증을 마치면 태국과 노르웨이를 1차 대상국으로 선정하여 시범 설치 및 운영에 들어간다는 복안이다.
이규원 인포피아 팀장은 “국내 U-Healthcare 사업이 많이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시범사업으로만 그쳤고, 사업화로 이어진 사례는 거의 없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국내의 U-Healthcare 관련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는 첫 사례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