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26일 '국내은행의 점포과잉 이슈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인구나 경제 규모와 비교할 때 국내 은행의 지점 수가 과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은행 지점 수는 7,650개로, 20세 이상 인구 10만명당 18.3개여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30.6개)을 크게 밑돈다는 것이다.
우체국 예금의 지점 수를 합쳐도 은행 점포 수는 인구 10만명당 24.7개다.
또 국내총생산(GDP) 10억달러당 지점수도 6.3개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7.9개)을 밑돌았다.
다만 국내 은행의 자동화기기 수는 2012년 말 현재 인구 10만명당 290.0대로 OECD 회원국 평균(99.3대)을 훨씬 웃돌았다.
보고서는 국내 은행의 자동화기기(7만105개) 이외에 우체국·외은지점 등이 보유한 자동화기기 수도 국내 은행의 76%에 달하는 만큼 자동화기기는 공급과잉 상태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자동화기기는 이미 저수익 채널로 전락했다"면서 "은행들이 자동화 코너를 개별적으로 운영하지 말고 공동으로 투자·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