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세계화가 실력이다

2002 한일월드컵 축구대회가 개막 초반부터 흥분과 열광의 드라마를 연출하고 있다. 4일의 한국 대 폴란드의 대결에서 한국팀이 거둔 2대0 승리는 온 국민을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세계 축구팬들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한 사건이었다. 한국축구가 월드컵 출전 48년 만에 거둔 첫 승리이자 한국의 축구선진국임을 세계만방에 고하는 '선언'이었다. 한국의 축구선진국 선언 이날 한.중.일 아시아 3국이 나란히 경기를 벌였는데 중국이 패하고 일본은 비겼으나 한국만은 승리를 거두어, 아시아 축구의 명예를 지켰다. 이번 월드컵의 이변의 드라마는 개막전부터 시작됐다. 처녀 출전한 아프리카의 세네갈이 FIFA랭킹 1위인 프랑스를 1대0으로 격파했다. 개막전 다음날 사우디아라비아가 독일에 8대0으로 대패한 것은 82년 대회 이후 처음 나온 큰 스코아 차이라는 점에서는 물론 축구의 세계적인 평준화추세에 비추어 이변이었다. 이번 월드컵에서 나타난 현상 가운데 주목할 것은 아프리카 축구의 강세라는 점이다. 세네갈 말고도 카메룬은 아일랜드와, 남아공은 파라과이와 비겼고, 죽음의 조에 속한 나이지리아도 아르헨티나에 1대0으로 석패하긴 했으나 강팀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아프리카 팀이 두각을 나타낸 것은 1990년 이탈리아 대회이후의 일이다. 그 대회에 아프리카 대표로 카메룬과 이집트가 출전했는데 이중 카메룬이 8강에 진출했다. 그때 이미 카메룬은 프랑스 프로축구에서 뛰던 로제 밀라 선수를 불러들여 돌풍을 일으켰다. 아시아 국가로는 1954년 스위스대회 때 한국이 최초로 참가하는 영광을 안았으나 헝가리에 9대0의 참패라는 수모를 당해 아시아의 출전권은 0.5장이 되었다. 이를 1장으로 다시 회복시킨 것은 66년 영국대회에서 8강에 진출한 북한의 덕택이었다. 그 후 아시아는 1~2개의 출전권 밖에 차지하지 못하다가 프랑스 대회때 3개국이 나갔고, 이번 대회에 개최국 프리미엄으로 한국과 일본이 출전하게돼 출전권이 4.5장이 됐으나 0.5장은 유럽에 뺏겼다. 이에 비해 아프리카의 출전권은 94년대회에 3장, 98년 4장, 이번대회 5장으로 줄곧 늘어왔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축구의 발전과정에서 발견되는 키워드는 축구의 세계화다. 선수와 코칭 스탭의 해외경험, 즉 글로벌스탠더드 적응도에 의해 팀 수준에 편차가 크다는 점이다. 세네갈 팀은 엔트리 23명중 21명이 유럽의 프로축구팀에서 활약하는 선수로 구성됐다. 카메룬은 엔트리 전원이, 나이지리아는 23명중 20명이, 튀니지와 남아공도 절반 수준이 유럽을 주무대로 한 해외 프로구단 소속이다. 이중 카메룬과 세네갈은 독일인과 프랑스인이 각각 감독을 맡고 있다. 이미 아프리카 축구는 피부색으로만 아프리카일 뿐 내용은 유럽축구다. 이는 중남미. 아시아 국가들에도 일부 해당된다. 세계축구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한 국제화가 이뤄지고 있다. 아시아 축구의 세계화는 어떤가. 한국팀의 세계화를 상징하는 것은 네델란드 출신의 히딩크 감독이나, 선수구성으로 볼 때도 세계화 수준은 상당하다. 엔트리 중 해외파가 7명이나 된다. 이중 유럽팀 소속이 2명이고 일본 팀 소속이 5명이다. 이들이 모두 주력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일본의 세계화 수준도 우리와 비슷하다. 일본도 프랑스 출신의 필립 트루시에 감독을 영입해 기량의 발전을 이뤘다. 일본팀은 5명이 해외파인데 이중 4명이 유럽구단 소속이고, 한명은 브라질 출신으로 귀화한 선수다. 한ㆍ일 양국팀의 선전은 개방의 성과인 셈이다. 한ㆍ일의 선전은 개방 성과 중국도 유고출신의 감독을 영입하고 2명의 유럽축구팀 소속 선수를 불러왔지만 경험부족의 벽을 넘지 못했다. 반면 사우디는 개방과는 정반대의 길을 택했다. 엔트리 전원이 사우디 축구팀 소속이다. 94년 미국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사우디가 이번 대회를 앞두고는 외국인 감독을 버리고 자국출신 감독을 기용했다. 선수 전원도 사우디의 5개 구단에서 골고루 선발했다. 사우디의 졸전은 이 같은 팀의 폐쇄성에서 기인했다는 분석이 가장 설득력 있다. 축구에서도 이변은 없는 셈이다. 뿌린대로 거둘 뿐이다. /논설위원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