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은 18일 EVA 4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울산 상개동의 제1공장에 증설하고 준공식을 했다. 이번 증설로 국내 EVA 생산 능력이 연간 16만톤이 되고 이에 따른 추가 매출 효과는 1,000억이 될 것으로 한화케미칼은 전망했다.
한화케미칼은 글로벌 석유화학업계가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에틸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압박, 중동산 저가 제품의 점유율 확대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고부가 특화제품의 생산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고함량 EVA는 코팅, 태양전지용 시트, 핫멜트(접착제)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화케미칼은 198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EVA를 생산했다. EVA는 범용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아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고 한화케미칼은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은 이번 EVA 공장 증설이 셰일가스 기반의 저렴한 제품 유입에 따른 원가 경쟁력을 강화할뿐 아니라 100% 자체 기술로 건설함으로써 투자비ㆍ운영비를 절감하고 수출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고 자평했다. 태양광시장이 성숙해질수록 고품질 EVA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관련 사업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민간 석유업체인 시프켐과 합작해 EVA와 합성수지(LDPE) 병산 20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주베일 석유화학단지에서 건설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