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이날 발표한 '함께 가는 열린 채용' 계획에 따르면 우선 하반기 대졸 신입 공채부터 지방대생 채용 비율이 35%까지 확대된다. 현재 차별 없는 '열린 채용'을 통해 선발하고 있는 지방대 출신 비율인 25~27%보다 크게 높인 수준이다.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지방대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균형발전을 적극 유도해나가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이번 채용은 관행적 차별을 없앤 기존의 '열린 채용'에서 취약계층에게 적극적으로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기회균등 특별채용'으로 확대한 것이 가장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삼성은 하반기 공채부터 기초생활수급 대상자와 차상위 계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저소득층 특별채용을 처음 진행한다. 이를 통해 매년 대졸 신입사원 채용의 5%인 400~5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채용방식은 주요 대학의 총장이나 학장의 추천을 통해 이뤄진다. 입사 후에는 일반공채 채용자와 차별이 전혀 없이 회사 내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운영될 예정이다.
삼성은 이와 함께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진학→장학지원→취업'으로 이어지는 '희망의 사다리' 채용을 추진해나가기로 결정했다.
삼성은 올 3월부터 학습의지가 있는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학습지원 프로그램인 '드림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희망의 사다리 프로그램은 드림클래스에 참가하는 저소득층 중학생 가운데 학습의욕이 높은 일부 학생을 선발해 고교 진학을 지원한다. 진학 후에는 그룹의 장학제도와 연계해 학업을 잘 마칠 수 있도록 돕고 우수 학생은 채용한다.
삼성은 아울러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그룹 고졸 공채를 지속해나가고 그룹 고졸 공채 선발규모의 15% 수준인 100명은 취약계층에 할당할 계획이다.
이인용 삼성그룹 부사장은 "삼성은 지난 1995년 최초로 열린 채용을 도입해 학력·성별 등을 없애 능력 위주의 채용문화를 확산해왔다"며 "하지만 최근 양극화에 따른 기회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불평등 개선을 통한 기회균등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함께 가는 열린 채용'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이어 "이번 채용 도입을 통해 누구나 동일한 출발선에서 시작할 수 있는 공정한 사회 실현을 위해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