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최근 들어 폭설이나 한파ㆍ폭염ㆍ집중호우 같은 기상이변이 잦아지면서 사회ㆍ경제적 손실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6일 '최근 기상이변의 파급 영향 및 과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도 최근 기상이변의 빈도와 강도가 확대되고 일상화되고 있다면서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해액이 지난 1990년대 6조원 규모에서 2000년대 들어서 19조원 규모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상이변에 따른 재해로 입은 손실액은 1960년대 9,850억원 규모에서 1970년대 1조6,130억원, 1980년대 4조3,330억원, 1990년대 6조3,320억원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19조원대로 확대되면서 10년 사이 세 배 이상 급증했다. 재해 한건당 사망자 수도 1980년대 12.5명에서 2000년대 17.5명으로 증가했다. 기상이변은 물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선채소 물가지수가 올 4월 28.9% 급증한 후 6∼8월 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20%를 넘어서며 물가불안을 초래했다. 산업 측면에서도 건설업과 운송업ㆍ유통업에서 조업 중단이나 생산비용 증가 등의 부정적 피해가 나타났다. 재난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집계된 피해액이 연간 1,2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이밖에 말라리아를 비롯한 전염병이 예전보다 확산되고 풍수해보험 같은 금융비용이 늘어나는 등 직ㆍ간접적 피해도 증가했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이 2006년부터 운용하고 있는 풍수해보험의 경우 도입 첫해 6억600만원이었던 보험금이 2009년 81억200만원으로 크게 늘었고 농협중앙회가 운용하는 농작물재배보험의 계약면적도 2006년2만1,466㏊에서 2010년 8월 말 현재 3만139㏊로 증가했다. 김동열 연구위원은 "빈번해지고 일상화되는 기상이변에 맞춰 국가 차원의 재해 대처능력을 제고해야 한다"면서 "시설물의 안전기준을 높이고 기상 관연 연구개발 투자 확대,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위주로 한 수해 방지 인프라 투자, 기상의 영향을 덜 받는 농법 개발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