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깜짝 카드가 나올 수 있을까. '빅 플레이어'를 우리금융 입찰에 참여시키기 위한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이 무산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현상황을 반전시킬 막판 카드가 등장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민영화를 지휘하고 있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인수합병(M&A)의 유효경쟁이 성사될 가능성을 계속 내비치고 있는 탓이다. 더욱이 정부 고위당국자가 최근 기자와 만나 "우리금융 인수전에서 이른바 '얼라이언스(제휴)' 행태로 들어올 수 있다"고 언급, 새로운 참여자가 등장할지 주목된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KB금융지주 등 대형 지주회사와 사모펀드 간의 결합을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로 생각하고 있다. 26일 금융당국에 다르면 금융위원회는 우리금융 인수의향서(LOI) 접수일인 오는 29일까지 국회를 설득해 금융지주사법 개정작업을 계속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특히 정치권의 동의만 얻는다면 일정이 촉박해 금융지주가 타 금융지주를 인수할 때 확보해야 할 최소 지분을 5년간 95%에서 50%로 낮추는 시행령 개정안을 우선 입법 예고한 뒤 금융위원 보고를 사후로 미루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 설득에 실패하면 시행령 개정을 철회할 계획이며 이 경우 두 군데 이상의 유력한 후보가 참여해야 가능성 유효경쟁 자체가 불발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금융위는 시행령 개정이 불발에 그쳐도 우리금융 매각을 중단하지는 않고 예비입찰을 실시하기로 했다. 당국이 절차를 강행하는 것은 시장의 예상을 뒤엎는 인수 후보가 나올 수 있다는 예상 때문이다. 당국은 일반 사모펀드나 외국계 은행, 우리금융 자체 컨소시엄 등에 매각하는 것을 사실상 배제하고 있다. 국내 지주회사가 인수전에 참여하는 것을 최선의 선택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시행령을 개정하지 못한 상황에서 지주사가 인수하려면 8조원 이상의 실탄이 필요해 입찰 참여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당국이 기대하는 것은 대형 지주회사 등 국내의 유력 금융업체와 보고펀드나 MBK파트너스와 같은 형태의 대형 사모펀드가 손을 잡고 들어오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대형 지주회사와 우리금융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 간 결합도 상정해볼 수 있다. 정부 고위당국자가 얘기한 '얼라이언스'도 이 같은 형태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M&A 입찰은 마감 5분 전까지도 결과를 예단하기 어려운 법"이라며 "끝까지 예비입찰 결과를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