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뼈깎는 구조조정 서막" 은행권 긴장
입력2000-08-11 00:00:00
수정
2000.08.11 00:00:00
김영기 기자
"뼈깎는 구조조정 서막" 은행권 긴장은행 2차 인력감축 본격화
은행권의 살아남기 작업이 시작됐다. 예상대로 인력감축에 구조조정의 촉수가 가해졌다. 은행원들에게는 지난 98년 하반기의 대량 감원에 이은 두번째 고통이 다가온 셈이지만, 2차 구조조정을 불과 한달여 앞둔 시점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다.
9월 말이면 생존능력이 없는 은행은 정부가 주도하는 금융지주회사로 편입되고, 이는 현 은행의 실체가 없어짐을 의미한다.
은행권의 감원바람은 구조조정을 위한 시작에 불과하다고 입을 모은다. 조직감축과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대출축소가 이어지고, 이를 통해서도 안될 경우 다른 은행과의 짝짓기(합병)를 통해서라도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존게임이 임박했다고 보고 있다.
◇30대를 겨냥한 대량감원, 노정간 충돌 불가피
은행권은 9월 들어서야 감원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예상을 뒤엎고 한빛은행이 11일 급작스레 1,000명 감원이라는 대량감원 카드를 들고 나섰다.
이날 공교롭게도 은행권의 순익이 발표됐고, 한빛은행은 7,000억원이 넘는 엄청난 적자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대규모 적자→감원」이라는 등식이 성립된 셈.
30대 겨냥 대량감원…노사충돌 불가피
'9월 대전' 살아남기 고강도 자구 예고
은행권의 이번 감원은 98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띤다. 감원의 표적이 30대에 맞춰 있다는 것. 500여명 안팎의 인력감축을 추진 중인 외환은행도 인사적체를 해소한다는 차원에서 3~4급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여타 은행들도 마찬가지. 아직은 구체적인 감원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고 밝히지만, 은행 내부적으로는 이달 말부터 제출할 경영정상화 계획을 앞두고 최소 100명에서 1,000명 가량의 감원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인원감축은 시작, 다양한 뼈깎이도 준비
은행 임원들은 인원감축만으로는 2차 구조조정의 심판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한다. 정부 주도의 금융지주회사에 들어가더라도 최대한 자구노력을 해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도 공적자금 투입에 앞서 은행권의 고강도 자구계획을 유도하고, 자체 클린화 과정을 밟은 뒤 이를 통해서도 되지 않으면 정부가 부실은행을 거두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원감축은 우선 조직과 점포 감축을 수반한다. 비효율적인 조직과 자산을 처분, 몸집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외형뿐 아니라 자산의 효율화 작업에도 나서고 있다. 부실채권 정리가 포인트다.
생존잣대인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서는 쓰레기 자산을 처분하는 길이 척도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조흥은행이 미국의 써버러스와 부실채권을 관리하기 위한 자산관리회사(AMC)를 세우기로 한 데 이어 한빛 등 여타 은행은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RV)를 세워 자산효율화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한빛은행은 자본증권 발행계획을 세우는 등 다양한 자본확충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은행들은 살아남기 위한 큰 그림도 물밑에서 준비하고 있다. 평화은행이 광주 등 지방은행과 금융지주회사를 통한 통합을 준비하는 데 이어 여타 은행들도 서서히 합병을 위한 밀고당기기에 들어갔다.
하나-한미은행뿐 아니라 주택·국민은행 등도 경영평가위원회의 평가이전 다른 은행과 입맞춤 정도를 해놓을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9월대전」이 기다린다
은행들이 이처럼 뼈를 깎는 구조조정에 나서는 이유는 간단하다. 「9월 생존 대전」을 준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현재 은행들이 제출한 BIS비율을 토대로 17개 전 은행에 대한 실사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어 이달 말께는 BIS비율이 8%를 밑도는 부실은행을 확정, 경영정상화 계획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생이 가능한 은행에는 독립생존의 기회를 주되,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은행은 정부의 금융지주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정부의 생존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는 은행은 명목상의 실체만 남을 뿐, 소멸될 수밖에 없다. 정부에 의한 강제 인원조정도 불가피하다. 은행이 엄청난 고통을 수반하며 벌써부터 대량감원에 나서는 것은 바로 「9월대전」을 통과하기 위한 절박한 몸부림인 셈이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박태준기자JUNE@SED.CO.KR
입력시간 2000/08/11 09:50
◀ 이전화면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