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22일 서거한 최규하 전 대통령은 12.12와 5.18 등 불행한 한국 최근세사의 중심무대에 있으면서 80년 신군부에 의해 이용된 후 철저히 배제되면서 중앙정치무대에서 사라졌던 ‘비운의 대통령’이었다. 아호가 현석(玄石)인 최 전 대통령은 1919년 7월16일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제1고보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과를 마친 뒤 만주국립대 대동학원을 졸업했다. 최 전 대통령은 해방되던 해인 45년 서울대 사범대 교수로 취임했으나 이듬해 중앙식량행정처 기획과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관직생활에 첫 발을 디딘 뒤 51년 농림부 농지관리국장 서리를 거쳐 외무부 통상국장으로 발탁되면서 전문 외교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그는 52년 주일대표부 총영사, 59년 주일대표부 공사 및 외무부 차관, 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외교담당고문, 64년 말레이시아 대사를 거쳐 67년 외무부 장관에 기용되는 등 외교관으로 ‘승승장구’했다. 71년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에 취임해 72년 11월과 73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남북조절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평양에 다녀오기도 했다. 그는 70년 한국외국어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제회의 참석만도 67년 22차 유엔총회 수석대표를 비롯, 30여회에 이를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최 전 대통령은 유신체제의 서슬이 시퍼렇던 4공화국 시절인 75년말 국무총리 서리를 거쳐 이듬해 국무총리로 임명돼 79년까지 4년간 국무총리직을 수행했다. 79년 10.26 사태로 박 전 대통령이 갑자기 세상을 뜨면서 대통령권한대행에 오른 뒤 같은 해 12월6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선으로 대통령에 피선됐으며 전두환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이 주도한 신군부의 12.12 사태 직후인 같은 달 21일 제10대 대통령에 취임하게 된다. 그러나 이듬해인 80년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 겸 중앙정보부장 서리가 중심이 돼 5ㆍ18 사태가 터지는 등 혼돈의 회오리가 계속되면서 최 전 대통령은 신군부의 위세에 눌려 결국 그 해 8월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특별성명을 발표한 뒤 대통령직을 사임해야 했다. 4공화국과 5공화국 사이의 진공상태에서 대통령직에 올랐다 결국 신군부에 떼밀려 대통령으로서의 정상적인 권한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다 8개월이 채 안되는 대통령직을 마감하게 된 것. 헌정사상 최단명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도 같이 떠 안았다. 실제 대통령 의전일지 등에 따르면 신군부가 5.17 비상계염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이후 같은달 31일까지 최 전 대통령이 공식행사에 참석하거나 각료, 군관계자 또는 민간인을 면담한 기록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이 미미했다. 또 96년 공개된 미국측의 12.12 사태 및 5.18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 비밀문건에 의하면 최 전 대통령은 미국측으로부터 대통령 선출 직전 약 1년만 재임할 것을 요구받기도 했으며, 재임 후 개헌을 추진했지만 곧 이은 퇴진으로 성사되지는 못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99년 회고록에서 최 전 대통령에 대해 “헛된 욕심과 좁은 시야에 갇혀 민주화를 지연시켰다”는 부정적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역대 대통령 서거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1∼3대ㆍ65년), 박정희 전 대통령(5∼9대ㆍ79년), 윤보선 전 대통령(4대ㆍ90년)에 이어 4번째이다. 그는 박정희 전대통령 등과 달리 천수를 누렸지만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최단명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역사의 뒤안길로 홀홀이 사라졌다. ▦강원도 원주 ▦경성 제1고보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 ▦만주대 ▦서울대 사범대 교수 ▦외무부 통상국장 ▦외무부 차관 ▦외무부장관 ▦국무총리 서리 ▦대통령 권한대행 ▦10대 대통령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의장 ▦국정자문회의 의장 ▦민족사 바로찾기 국민회의 의장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