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31일 앰배서더호텔에서 ‘차기 정부의 대·중소기업 협력정책,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를 주제로 개최한 포럼에서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는 이같이 제안했다. 그는 “우리 중소기업의 상당수가 1980∼1990년대 싼 가격으로 범용제품을 만들어 파는 수준에 머물러 중국·베트남 등 원가경쟁력이 높은 신흥국이 부상한 이후 성장동력을 못찾아 고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낮은 인건비를 찾아 중국 칭다오에 진출한 5,000여개 한국 중소기업들중 R&D 역량을 갖춘 500여개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은 앞으로 살아남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차기 정부는 금융지원 등 한계기업을 정상화시키는 1980년대 성공 방식인 ‘요소투입형’ 정책보다는 유망 중소기업의 R&D 개발을 촉진해 혁신형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교수는 3,400여개 국내 중소기업의 경영지표를 분석한 결과 R&D 투자가 활발한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특허등록이 3배 많고, 특허등록이 많은 기업은 적은 기업보다 수출 비중도 1.5배 높다고 분석했다. 이종욱 서울여대 교수는 대·중소기업간 납품단가 해결 방식에 대해 “대·중소기업이 갈등하면 둘 중 하나는 손해를 보는 제로섬 결과가 된다”면서 “양쪽이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우수한 제품을 만들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