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 노조가 사장의 호소문을 거부하면서 노사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회사가 제시한 임금동결안을 거부함에 따라 임금·단체협약 협상은 전체 휴가가 끝나는 오는 8월 중순 이후로 늦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이 지난 20일 최고경영자(CEO) 담화문을 통해 회사의 급박한 사정을 알리며 노조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지만 철저히 외면당한 셈이다. 올해 2·4분기 수조원대의 적자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대우조선은 노사협상마저 어긋나며 경영 부담이 더해지게 됐다.
2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 노조는 20일 노조원들에 대한 '투쟁속보'를 통해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현시한 대우조선 노조위원장은 "회사의 임금동결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휴가 이후 투쟁을 빈틈없이 준비해 조합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으로 승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교섭에서 노조는 임금 12만5,000원 인상과 사내복지기금 50억원 출연, 하계휴가비 150만원 추가 인상, 통상임금 소급분(약 200억원 규모) 지급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17일 사측이 사실상 임금동결을 의미하는 정기승급(1.1% 인상) 조건을 내걸고 기타 노조 측의 요구를 거부하자 노조가 결렬을 선언한 것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까지 24년 연속 무분규 기록을 세운 만큼 올해 임단협도 2주간의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27일 전에 타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휴가를 나흘(주말 제외) 앞두고 결렬돼 임단협은 8월10일 이후로 미뤄졌다.
사측이 동결을 내건 것은 수조원대 적자로 재무 여력이 바닥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정 사장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며 비업무성 자산을 매각하고 각종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며 노조에 "대승적 판단과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반면 노조는 동결안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대우조선은 긴급 자금대책 없이는 하반기를 버티기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라며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노조도 힘을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