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부터 시행된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 금지조치의 여파로 울산시가 전국 최초의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쓰레기 매립장 가스 재활용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매립장 주 수입원인 가스발생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SK㈜와 공동으로 지난 2002년 남구 성암동 생활폐기물 매립장에 총 55억원의 예산을 들여 가스재활용 시설을 설치했다. 이곳에는 모두 49개의 가스 포집공을 땅에 묻어 폐기물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재활용한 뒤 인근 기업체와 쓰레기 소각장 연료로 공급중이다. 그런데 올해 들어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가스발생량이 급속히 감소, 사실상 존폐위기에 놓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이 곳에는 지난해까지 하루 20톤의 가스를 생산했으나 올 들어서는 하루 16톤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 가스 재활용수입도 지난 2003년 14억원에서 지난해는 11억8,000만원으로 줄어든 데다 올해는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이 완전 정착될 경우 가스발생량 감소로 예년의 절반 가까이나 수익이 급감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게다가 재활용가스를 사용하는 업체들도 가스 공급량 감소로 부족한 양을 새 가스로 보충하는 등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위생매립장은 차수시설이 거의 완벽해 음식물쓰레기가 매립되더라도 침출수가 새나올 우려가 없다”며 “이 같은 시설에 대해서는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 금지조치에서 예외로 해 줄 것을 환경부에 요청해 놓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은 “환경오염 방지와 대체에너지 개발 등 일석이조의 효과로 각광받던, 매립장 가스 재활용 사업이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 탓에 애물단지로 전락하게 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