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이 26일 열흘째를 맞은 국회 국정감사에서 상대 당의 대통령 후보에 대한 검증공방으로 난타전을 벌였다. 신당은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의 BBK 관련 의혹, ‘도곡동 땅’ 차명보유 의혹 등을 거듭 추궁한 반면 한나라당은 정동영 신당 대통령 후보 처남의 주가조작 사건 연루 의혹 등을 집중 공격했다. 이런 가운데 신당이 이명박 후보 연루의혹이 제기된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특혜분양 의혹 관련 공무원 등 8명을 검찰에 고발했고 한나라당은 이 후보의 BBK 주가조작 사건 관련 의혹을 주장한 신당의 박영선ㆍ서혜석 의원에 대해 각각 1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 방침을 밝혔다. ◆ 전면전 치닫는 대선후보 검증=이날 정무위의 금융감독위원회ㆍ금융감독원 국감에서 신당의 서혜석 의원은 BBK가 운용한 역외펀드인 MAF와 관련, “이 후보는 MAF의 설립 일자와 설립된 곳, 펀드의 성격까지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면서 해명을 요구했다. 박상돈 의원은 차명보유 논란이 일었던 ‘도곡동 땅’ 문제와 관련, “포스코가 정황상 필요치 않은 도곡동 땅을 매입한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매입 당시 공시지가 140억∼150억원 수준의 땅을 2배 가까운 263억원을 주고 매입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의 나경원 의원은 서울고법에 대한 법사위 국감에서 정동영 후보 처남부부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 “이 주가조작 사건은 홍씨의 단독 범행이 아닌 정 후보 처남 등 계좌 개설인과 공동으로 한 범죄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무위 소속 한나라당의 진수희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BBK관련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박영선 의원에 대해 “혹시 야당 대선후보에 대한 정치공작을 위해 사기꾼 김경준과 공모해 김경준으로부터 모종의 자료를 받은 것은 아니냐”고 반문했다. ◆ 일정중단 위기에 봉착한 국감=국감이 이처럼 대선후보 검증공방으로 얼룩지면서 국감 중단 검토 발언까지 나왔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BBK 주가조작’ 사건을 둘러싼 신당의 이명박 후보 집중 공세와 관련, “‘거짓말 정치’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감을 계속 할 이유가 있는지 심사숙고 하게 된다”며 “29일 오전 국감 일정을 일단 중단하고 의총을 열어 국감 계속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최재성 신당 원내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명박 후보 의혹사건의 진실과 한나라당의 거짓말이 연이어 들통나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비겁한 정략”이라면서 “국감을 중단할 수 있는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으며, 국민이 요구한 국감을 거부하는 것은 용서가 안된다”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