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호주를 방문한 현 부총리는 이날 현지에서 로이터와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의견을 밝혔다. 현 부총리는 신흥국의 경제 불안이 선진국으로 전이되는 역파급 효과를 막기 위한 국제공조의 필요성을 거듭 역설했다. 특히 미국의 테이퍼링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조정하며 질서 있게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을 던졌다. 신흥국에 대해서는 경상수지나 재정 시스템 등을 비롯한 거시경제정책을 재검토해 견고한 펀더멘털을 갖춰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과 관련해 "시스템적 리스크는 없지만 내수와 소비에 위험을 주는 가계부채의 증가를 막기 위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의지도 밝혔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이날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G20 회의에 대해 "(미국의) 금리가 정상화된다면 상응하는 정책은 무엇인지, 재정우위 상태에서 통화정책이 무슨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일부 신흥국의 경우에는 테이퍼링 이후 자본유출이 있었던 만큼 이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